[비즈 칼럼] 빅데이터가 흘러야 핀테크 산업이 자란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8면

이정우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이정우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지난 수년간 핀테크 산업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많은 논의와 투자가 있었다. 이제는 핀테크 산업을 단순히 금융산업의 변화된 형태로 볼 것이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하나의 큰 축으로 봐야 할 것이다. 핀테크 산업의 발전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기술 발전 및 경쟁력 강화에도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보인다.

IT 강국이라고 자부하는 대한민국 핀테크의 현주소는 세계 100대 핀테크 기업에 한 곳도 끼지 못할 정도로 초라하다.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제는 이러한 공유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마케팅에 사용하지 못 하게 하고 있다. 이런 규제를 점진적으로 풀어나가야 우리의 핀테크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다. 미국의 한 빅데이터 분석업체인 렉시스넥시스’는 지난해 매출만 4조원을 기록했다. 그런데 작년 우리나라 전체 빅데이터 분석업계의 총 매출이 이 기업의 매출에 훨씬 못 미친다는 점은 우리가 얼마가 뒤처져 있는지 생각하게 한다.

기업의 이윤을 목적으로 한 데이터 분석에 소비자의 거부 반응이 있을 수도 있지만, 공익을 위한 목적이라 하면 소비자의 긍정적 동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익 법인을 설립하여 이동통신사, 카드·은행·보험사의 데이터를 기부받아 이를 분석하면 공중보건, 교통시스템, 도시계획 등 다양한 공익목적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일차적으로 소비자와 시민이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비공익적인 영역에서도 개인정보 관련 규제를 점진적으로 풀어 금융사들끼리 데이터를 공유 부가가치를 높이는 길을 열어줘야만 한국 빅데이터 및 핀테크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금융서비스 가입시 공공목적에 개인정보사용의 동의를 얻게 한다면 법 개정이 없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신성시 하는 것보다 이를 산업계와 공공기관이 활용하면 소비자에게 그 혜택이 돌아간다는 긍정적인 면을 정부와 핀테크 업계가 지속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개인정보보호와 핀테크 산업의 발전은 함께 잡아야 할 두 마리 토끼다.

현재 우리나라의 문제점은 개인정보보호가 전 세계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는 것이다. 과거 국내의 무분별한 개인정보 남용과 유출 사건으로 이러한 보호법이 만들어진 배경은 이해되나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속담에 현재 상황을 비유해 볼 수 있다. 이제는 핀테크 산업발전과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우리 모두의 인식을 정상화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데이터산업이다. 이 시점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지나치게 강조해 국내산업의 자생력을 높일 시기를 놓치면,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주도권을 완전히 상실할 위기에 빠질 수 있다.

이정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