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검찰에 '이 얘기' 한 뒤 수사가 흐지부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에 대한 영장실심사는 두번째도 기각된 후 12일 0시51분 우 전 수석이 자신에 대한 영장이 기각되자 서울중앙지검을 나서고 있다. [조문규 기자]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에 대한 영장실심사는 두번째도 기각된 후 12일 0시51분 우 전 수석이 자신에 대한 영장이 기각되자 서울중앙지검을 나서고 있다. [조문규 기자]

12일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됐다. 이에 대해 1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는 권영철 선임기자가 출연해 검찰의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가 부실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에 대해 짚었다.  

권 기자는 "특검 관계자들은 우 전 수석에 대한 검찰 수사가 '뼈다귀 빼고 건더기 빼고 맹물만 남은 것'이라 평가한다, 검찰 내부에서도 검찰이 영장기각 되도록 일종의 쇼를 한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검찰 안팎에서 우 전 수석의 영장 기각에 대한 비판이 나오는 이유로 검찰이 우 전 수석에 대한 특검의 기초 조사조차 반영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었다.

권 기자가 이번 사건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종합한 결과 검찰이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개인비리에 대해서는 수사하지 않았고, 특검이 우 전 수석의 차명계좌에서 발견한 10억원대 돈에 대해 기초조사를 해서 자료를 넘겼지만 이에 대해서도 수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특검 측 관계자의 의견이 나왔다.

왜 이렇게 됐을까. 우 전 수석이 자신이 구속될 경우 "같이 죽자"는 식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수사팀이 제대로 수사하지 못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복수의 관계자는 권 기자에게 "우 전 수석이 검찰 수뇌부에게 '혼자서는 죽지 않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초기에는 수사를 제대로 하는 듯하다 그 소문이 나온 이후 검찰수사가 흐지부지 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 '우병우 사단'이 여전히 건재하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이유로 꼽힌다. 현재 검찰 수뇌부가 우 전 수석이 민정수석으로 재직할 당시에 짜여진 상태 그대로라는 것. 실제 우 전 수석은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이 발생한 이후 김수남 검찰총장과 수시로 통화했다는 사실이 최근 드러난 바 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