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선투표제 도입한 민주당 대선 경선 … 이재명·안희정 “2위 하면 막판 뒤집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성남시장,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부터)이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선주자 초청 조찬 좌담회에서 인사하고 있다. 이날 민주당은 대선후보 경선 룰을 확정했다. [사진 오종택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성남시장,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부터)이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선주자 초청 조찬 좌담회에서 인사하고 있다. 이날 민주당은 대선후보 경선 룰을 확정했다. [사진 오종택 기자]

요즘 더불어민주당의 이슈는 ‘2위 후보’가 누구냐다. 일단 1강(문재인) 1중(이재명) 3약(박원순·안희정·김부겸) 구도인 경선레이스에서 2위가 주목받는 이유는 결선투표제에 있다. 민주당은 24일 결선투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대선후보 경선 룰을 확정했다.

모바일 투표 포함한 국민경선 확정
박원순 측 “일방적으로 결정 유감”

결선투표제는 1차 투표에서 1위 후보의 득표율이 과반보다 낮으면 1·2위 후보를 놓고 다시 투표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다른 후보를 지지했던 표심의 향방에 따라 뒤집기도 가능하다.

민주당 경선 룰의 기본 틀은 결선투표제를 포함한 완전국민경선제 방식이다. 선거인단으로 등록한 당원과 일반인이 똑같이 1표씩을 행사한다. 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제주·강원의 순서로 네 차례의 전국 순회경선도 한다. 비문재인계가 반발한 모바일(ARS) 투표도 실시하기로 했다. 대신 모바일 투표 검증단을 구성한다. 네 차례 순회경선에서 현장 투표 결과와 모바일 투표 결과를 발표한다. 안규백 사무총장은 “조기대선을 염두에 두고 룰을 마련하다 보니 순회경선을 4회 이상 늘리기에는 물리적으로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고 말했다.

순회경선을 도별로 하는 게 아니라 광역별로 할 경우 조직력에서 앞서는 문재인 전 대표에게 유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그래서 후발주자들은 더욱 결선투표제에 승부를 걸고 있다.

관건은 과연 결선투표가 열릴 수 있을지 여부다. 5년 전 민주통합당(전신) 경선에서도 같은 규정이 있었지만 당시엔 문 전 대표가 1차 투표에서 과반을 넘었기 때문에 결선투표가 열리지 않았다.

23일 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문 전 대표의 지지율(29.1%)은 당내 2위인 이재명 성남시장(10.1%)의 3배에 가깝다. 조직력의 지표인 계파 의원 숫자도 문 전 대표가 압도적이다. 그럼에도 2위를 노리는 후보들은 막판 뒤집기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안희정 충남지사 측 관계자는 “야권 내부에서 문 전 대표의 본선 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2위만 확보하면 얼마든지 역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23일 대선출마 회견에서 “대세는 깨지기 위해 있다. 기존 여론조사의 대세와 경선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장담했다.

안 지사와 이 시장 사이의 경쟁도 뜨거워지고 있다. 안 지사는 22일 “세금을 누구에게 더 나눠주는 정치는 답이 아니다. 국민은 ‘공짜 밥’을 원치 않는다”며 이 시장의 청년수당 정책과 기본소득 공약 등을 비판했다. 그러자 이 시장은 23일 “복지 증진은 의무이고 권리인데 ‘나눠준다’고 표현한 것은 민주공화국을 제대로 이해한 것이냐”고 반박했다. 이 시장은 24일에도 “나는 문재인과 경쟁하는 관계지, 저에 대한 얘기에 굳이 (안 지사를)언급하고 싶지 않다”며 신경전을 벌였다.

경선 룰 발표 후 두 사람은 “당의 결정을 수용한다”고 밝혔다. 반면 그동안 민주당 경선 룰 협상 테이블에 불참해 왔던 박원순 서울시장 측은 “주자들의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경선 규칙을 확정해 매우 유감스럽다 ” 고 반발했다.

글=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