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은 ‘응징맨’?…대통령 비서실 회의에 빠지지 않은 “응징,제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KBS 뉴스 방송화면 캡처.

3일 KBS 뉴스9 방송 화면 캡처.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정부에 비판적인 인물들을 응징하라고 지시한 정황을 KBS가 3일 보도했다.

고 김영한 민정수석이 대통령 비서실 회의 내용을 적은 다이어리 내용을 분석한 내용이다.

다이어리에 적힌 회의 내용에는 유독 ‘응징’ ‘철저 수사’ 등의 지시 사항이 많다.
수석 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지시로 추정되는 내용들이라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2014년 10월 이석우 카카오 전 대표(현 중앙일보 디지털총괄) 관련 메모.

당시 이 전 대표는 카카오톡에 대한 경찰의 기록 조회와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 대해서 협조하지 않겠다는 기자회견을 했다.
기자회견 사흘 뒤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김 전 민정수석이 적은 메모에는 “이석우 대표,실시간 감청 불가,대응”이라고 적혔다.

한달 뒤 쯤인 11월 14일 회의에서는 이 대표 이름 아래 ‘개인정보보호’,‘개인비리’,‘온라인뱅킹 대행’이라고 적혀, 대통령 비서실이 카카오의 사업 상의 문제점과 이 전 대표의 개인 비리를 캐기 위해 고심했다는 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전 대표는 다시 한 달 뒤, 경찰의 아동음란물 유통 방치 혐의 수사를 받게 된다고 KBS는 보도했다.

지난 2012년 수뇌부의 국정원 댓글 사건 축소 의혹을 폭로한 권은희 당시 송파서 수사과장은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산신고 누락 등의 혐의로 고발됐는데, 당시 회의 메모에는 “권은희, 선거법 고발 사건 철저 수사”라는 내용이 등장한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은 비선 실세 관련 의혹을 제기한 2014년 7월 명예훼손으로 고발당했다. 직후 회의 메모에는 “공소유지 대책 수립”과 “시민단체 통한 대응 검토”라는 메모가 적혀있다.

열흘 뒤엔 박지원 의원의 이름에 “응징 체감 반성하도록 해야”라는 내용이 나온다.

또 대통령에 대해 막말을 한 한 지방 의원에 대해서는 “별도 수사 응징”, 대통령을 비하하는 내용의 그림을 그린 화가에 대해서는 “응징해줘야” “제재 조치 강구”란 문구가 적혔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