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척추측만증' 치료에 후방 척주 절제술 효과 증명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선천성 기형에 의해 지속적으로 허리가 휘는 선천성 척추측만증의 후방 척주 절제술 효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증명됐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척추센터 장동균 교수팀은 26일 "선천성 척추측만증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후방 척주 절제술로 수술후 10년 이상 장기 추적 관찰한 결과, 병변부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만족스러운 변형의 교정력을 보였고 이 교정효과는 10년 이상 유지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18세 이하 수술 환자 45명을 평균 12.8년 간 추적 관찰한 결과, 뼈가 휘는 정도를 뜻하는 만곡 각도는 수술 전 평균 46.5도에서 수술 후 13.7도 (70% 교정), 최종 추시시 17.6도 (62% 교정)로 유지됐다.

선천성 척추측만증은 약 70%의 환자에서 만곡이 진행하며, 만곡의 변형 정도는 기형 척추체의 위치와 성장판의 불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성장 시 허리가 급격히 더 휘어질 수 있으므로 꾸준히 관찰하면서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선천성 척추측만증은 정기적인 검사와 관찰을 통해 경과 관찰이나 보조기 착용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지만, 변형이 급격히 진행되는 경우에는 척추 기형의 형태, 위치, 개수, 척추 균형등을 고려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Neurosurgery (Spine)'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시한폭탄 부정맥, 치료 후 재발 막으려면 [2016/10/27] 
·구멍 하나만 뚫고...한림대강남성심병원 단일공 자궁 절제술 성공 [2016/10/26] 
·중앙대병원 신경과 안석원 교수,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우수 연구자상 수상 [2016/10/26] 
·조선대병원 미래부로부터 5년 간 50억 연구비 수주 [2016/10/26] 
·초등학생 40% "하루 30분도 밖에서 햇빛 안쬐요" [2016/10/26]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