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차관도입 기준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최근 원화의 평가절상 전망, 국내외 금리차등에 따라 상업차관의 도입이 급증할 염려가 있어 차관도입 심사기준을 크게 강화키로 했다.
최근 재무부가 마련, 7일부터 시행키로 한 상업차관도입 억제책에 따르면 앞으로 ▲상업차관을 들여올 수 있는 대상사업이 자동차·전자부품 제조업 등 몇 개 사업분야로 크게 줄어들고 ▲여신운용 규정상의 업종별 자기자본 지도비율을 넘는 기업만이 차관을 들여 올 수 있으며 ▲현금차관은 일체 금지되는 한편 자본재차관도 소요자금의 85%까지만 들여올 수 있게 된다.
또 ▲금융기관의 보증 없이 기업 스스로의 신용으로 들여오는 차관만 허용되고 ▲금리나 상환기간·약정수수료 등의 도입조건 제한기준도 더욱 강화된다.
이제까지 상업차관을 들여올 수 있는 대상사업은 중소기업·중화학공업·전원개발사업·방외 산업·시설대여 업·외국인투자기업 등으로 명시돼 있어 사실상 거의 모든 산업부문에서 외자도입 심의위원회의결정만 거치면 차관을 들여올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일반기계 제조업·자동차 및 부품제조업·전자부품제조업·철강업·원전건설사업·시설대여 업에 대해서만 상업차관의 도입이 허용된다.
또 외국인 투자기업 차관사업의 경우도 투자금액의 50%까지에 한해서만 외자도입이 허용된다.
한편 업종별 자기자본 지도비율에 못 미치는 기업은 올 이상으로 높여 놓아야 만 상업차관도입이 가능케 된다.
지금까지는 자기자본 비율이 낮아도 주거래은행에 의해 기업의 차관원리금 상환능력을 인정받으면 차관을 들여 올 수 있었다.
또 종래 특수한 경우에 한해 외자심의위 결정을 거쳐 허용되던 현금차관이 7일부터는 일체 금지되며 이와 함께 금융기관이 보증을 서는 차관도입도 금지된다.
다만 계열기업이 보증을 서는 경우는 차관도입이 가능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