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분열 폭탄…폭발력 20kt 넘을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핵실험 위력을 어느 정도로 보나.
“당장은 추정하기 어렵다. 현재까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지진 규모를 5.3으로 추정했다. 다른 관련 기관들은 5.0에 가까운 수치를 내놨다. 이 숫자들은 로그 스케일(logarithmic scale)이기 때문에 수치가 늘면 위력이 훨씬 더 커진다. 규모가 5.3이라면 이는 지금까지의 핵실험 중 가장 큰 폭발력이다. 이 경우 폭발력이 20kt(킬로톤) 정도거나 아니면 이보다 조금 더 클 수도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실험 장소에서 폭발력이 어떠했을지를 계산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어쨌든 이번 핵실험은 성공했다. (이번 실험은) 핵분열 폭탄으로 보인다.”
기술적으로 볼 때 이런 규모라면 무엇을 의미하나.
“핵실험 성공 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단 열핵폭탄(수소폭탄)을 터뜨렸다고 보기에는 규모가 작다.”
그래도 북한이 파괴력이 훨씬 큰 폭탄을 터뜨렸다고 볼 수 있지 않나.
“이번 폭탄은 일반적인 원자폭탄 이상이다. 핵폭탄은 아마도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됐을 것이다. 북한이 ‘수소폭탄’이라고 주장할 때 나는 북한이 폭발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수소 동위원소를 증폭제로 사용한 것으로 봤다. 이는 북한이 (핵폭탄 제조에 플루토늄을 더 적게 쓰게 돼) 플루토늄 저장량을 아낄 수 있게 됐음을 의미한다.”
북한 핵 개발 상황을 평가해 달라.
“내가 판단하기로는 북한은 중수소·삼중수소를 넣어 플루토늄과 고농축우라늄 모두에 사용하는 발전된 핵분열 장치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다른 말로 하면 더욱 정교하면서도 효율이 높은 증폭핵분열탄을 뜻한다.”
북한의 핵 개발을 막기 위해 국제사회는 어떻게 해야 하나.
“국제사회가 북한과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면 평양은 결국 열핵폭탄을 만들 것으로 본다.”
기사 이미지

제프리 루이스

국방부 정책차관실을 거쳐 싱크탱크·대학 등에서 비확산 및 동아시아 핵 문제를 다뤄왔던 북핵 전문가다. 워싱턴포스트·로이터통신 등은 북한 핵실험 직후 “이번이 최대 규모”라는 루이스 국장의 분석을 인용했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