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조직위원장들 지키려 권성동 치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새누리당 권성동 사무총장이 복당 파문의 ‘제물’이 된 배경에는 친박계의 복잡한 속내가 작용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사무총장 집요한 끌어내리기 왜
권 “총선 득표 저조한 곳 정리” 주장
친박, 당권 염두 “전대 끝난 뒤 논의”

먼저 ‘친박계 조직위원장 지키기’다. 통상 총선 뒤엔 후보였던 조직위원장을 당원협의회 위원장으로 임명할지를 논의한다. 새누리당이 패배한 이번 총선에선 친박계 후보가 비박계보다 많았고, 낙선한 조직위원장도 친박계 숫자가 우세하다는 게 당 사무처의 진단이다. 권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 “4·13 총선에서 당 지지율보다 개인 득표율이 저조했던 조직위원장들은 정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친박계 김태흠 제1사무부총장은 “당무 감사 한 번 없이 조직을 정비하면 분란만 일으킨다”며 “새 지도부가 선출된 후 논의하자”고 맞섰다. 이러다 보니 비박계 3선 의원은 “역량이 부족한 조직을 정비하는 걸 왜 미루느냐”며 “친박이 전대 승리에 필요한 당협위원장 숫자를 지키려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다른 하나는 총선 참패의 원인을 담은 ‘국민 백서’ 발간을 둘러싼 문제다. 친박계에선 “백서 발간 자체가 긁어 부스럼”이라는 회의론이 나왔다.

백서를 내면 김무성 전 대표 외에도 박근혜 대통령이나 전당대회 출마를 저울질하는 친박계 핵심 최경환 의원 등의 책임론이 거론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이 비공개 회의에서 수차례 이에 대해 걱정했지만 권 총장은 “이미 공정의 95%가 진행됐는데 이제 와 무슨 명분으로 멈추느냐”며 추진 의지를 밝혔다고 한다.

김영우 비대위원은 20일 “당내 부정적 기류가 있는 상황에서 권 총장까지 중도 하차하면 백서가 제대로 만들어질 수 있겠나”고 우려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