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추진 공유적 시장경제 첫 사례 나와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와 CJ대한통운은 오는 7월까지 CJ대한통운 소유 군포복합물류센터 일부 부지에 도내 중소기업을 위한 공공물류유통센터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남경필 경기지사와 박근태 CJ대한통운 대표이사는 25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공공물류유통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는 군포복합물류단지 내 일부 면적을 확보, 도내 첫 ‘공공물류유통센터’로 활용할 방침이다.

공공물류유통센터는 도내 중소기업이 입주해 시세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류 인프라다. 입주 기업은 단순 물류보관센터로 활용하거나, 전문업체 위탁을 통해 물품보관ㆍ재고정리ㆍ제품 출하 등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경기도는 “이번 협약은 브랜드ㆍ토지ㆍ건물ㆍ자본ㆍ인력 등을 경기도가 제공하고,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기업(창업 초기 기업) 이 이를 공유해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 경기도 공유적 시장경제의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도는 이르면 오는 5월 중 공공물류유통센터에 입주할 기업을 공모를 통해 선정할 계획이다. 입주 대상 기업 수는 100여 개다. 도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ㆍ사회적ㆍ기업협동조합 등이 대상이다. 7월중 ‘공공물류유통센터 1호점’을 열 예정이다. 사용료와 사용기간ㆍ입주기준 등 자세한 사항은 양 기관이 협의 중이다.

이에 합의로 열악한 물류유통 여건과 높은 임대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중소기업이 저렴한 가격으로 물류유통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된다. 실제로 일본ㆍ유럽 등 물류 선진국에서는 제품가격에서 물류비용이 차지하는 비용이 6% 정도이지만 우리나라는 10% 이상으로 높아 중소기업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경기도와 CJ대한통운은 ▶경기도형 공공물류유통 모델의 실현과 확산 ▶도내 물류인프라의 역량강화와 효율적 운영 및 개선 ▶물류산업의 신부가가치 아이템 창출 및 성장 등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잠재력이 있는데도 물류시설을 마련하지 못해 기업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이 많다”며 “공공물류유통센터가 잠재력 있는 기업의 성공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근태 CJ대한통운 대표는 “경기도와 협의를 통해 중소기업 상생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물론, CJ그룹의 나눔철학을 적극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