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겨냥 ‘연립정부론’ 불지피는 박지원·주승용·이태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기사 이미지

박지원

국민의당에서 내년 대선 때 ‘연립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쏟아지고 있다. 야권 통합이나 연대 대신 연립정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뜻이다.

박 “DJP연합 사례, 야권 전략 삼자”
주 “야권연대 대신 연정수립 목표”
이 “보수·진보 모든 세력과 가능성”

주승용 원내대표는 24일 “이제 야권 연대나 통합으로는 국민적 공감을 얻을 수 없다”며 “연립정부 수립을 목표로 야권 후보 단일화 과정을 밟아야 한다”고 말했다. 4·13 총선에서 ‘야권 통합’을 주장했던 국민의당 박지원(4선·목포) 의원도 “그간 호남은 노무현·문재인 두 대선 후보에게 조건 없는 지지를 보냈지만 얻은 것이 없다”며 “이제는 연정 형태의 집권 참여를 통해 호남이 발전할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남 의원들이 주장하는 ‘연립정부’는 호남을 중심으로 한다는 전제다. 박 의원은 대표적 사례로 ‘DJP(김대중·김종필)연합’을 꼽았다. 1997년 대선에서 DJ와 JP는 내각제 개헌을 고리로 손을 잡아 자민련이 총리와 경제부처 등을 담당하는 공동정부를 구성했었다.

기사 이미지

이태규

안철수 대표 측근인 이태규 전략홍보본부장은 “20대 국회에서 ‘일하는 국회’로 성과를 내고 국민의 인정을 받는다면 당연히 단독 집권을 우선 추진한다”면서도 “국민의당 주도의 정계 개편이나 연립정부론도 얼마든지 부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연정 대상에 “개혁적 보수·합리적 진보세력 등 모든 정치세력과 연대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당 안팎에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손을 잡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새누리당을 향한 메시지라는 얘기도 나온다.

더민주 김종인 비대위 대표는 국민의당 내에서 나오는 주장에 대해 “그냥 하는 소리일 뿐 신경 쓰지 않는다”며 “우리가 관심 가질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더민주 관계자는 “특히 새누리당과의 연정은 현실성 없는 이야기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효식·이지상 기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