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파업] 수출·생필품 수송 열차 우선 투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는 철도노조 파업의 장기화에 대비해 비상대책을 마련했다.

건설교통부는 29일 파업 진행 기간에 따라 ▶1단계(파업 1~3일)▶2단계(4~6일)▶3단계(7일 이후) 대책을 세워놓았다고 밝혔다. 1단계에는 평시 대비 43%의 운행률을 유지하고, 2단계에는 57%의 운행률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비상수송 대체 인력으로 승무경력 직원과 철도대학생, 외부기관 지원인력 1천89명을 확보해 운행이 중단된 열차에 투입하고 있다.

특히 파업 대책의 성패 여부는 열차 운행의 필수 인원인 기관사 확보에 있다고 보고 비노조원 기관사 물색은 물론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 중에서도 기관사들을 개별적으로 우선 접촉해 복귀를 종용하고 있다.

열차 운행은 우선순위를 정해 ▶출퇴근 시간대 전철 및 통근 열차▶주요 지역 간 여객열차▶수출입 화물과 유류 및 생필품 수송 화물열차▶신문 및 우편수송열차 등의 순으로 투입하고 있다. 화물수송의 경우 수출입 화물 및 생필품 위주로 1단계 44개 열차, 2단계 79개 열차를 투입해 우선 수송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대체 수송 대책으로 서울지하철은 정상 운행하고 수송인원이 많은 경인.경수선 전철은 상호 열차 운행을 조정해 수도권 전철 수송능력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다.

또 나머지 철도 수송 수요는 버스의 노선 연장 및 증차 운행, 전세버스 투입, 택시 부제 및 공공기관 승용차 10부제 해제 등을 통해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