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車노조 전면파업 철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현대자동차 노조가 다음주 예고한 전면 파업을 전격 철회했다. 동시에 임단협 결렬 선언으로 중단됐던 협상을 다음달 1일 재개하기로 했다.

현대차 노조가 쟁의행위 찬반 투표와 노동위원회의 조정 등 파업을 위한 모든 절차를 마치고 파업 돌입을 철회하기는 이례적이다.

현대차 노조는 27일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이날 회사 측이 제안한 임단협 재개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노조 측은 또 다음달 2일에 한해 전 공장이 4시간 부분 파업을 벌이되 토요일인 5일에는 하루 동안 정상 근무를 하기로 했다. 파업의 강도를 크게 낮추기로 한 것이다. 대신 공장 및 지부별로 주.야간 조가 3~4시간씩 벌이고 있는 순환 부분 파업 및 주간 조의 잔업 거부는 계속할 계획이다.

이로써 지난 13일 임단협 결렬 선언으로 시작된 현대차의 노사 분규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특히 앞으로 예정된 노조들의 파업 일정이나 대기업의 임단협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전망이다.

노조 관계자는 "현장 조합원의 의견을 수렴하고 국민 여론을 감안해 부분 파업으로 투쟁 수위를 조절했다"고 밝혔다. 반면 전국철도노동조합은 철도구조개혁법안의 국회 처리를 반대하며 28일 오전 4시 파업에 돌입키로 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노조원 집결지 원천 봉쇄 및 공권력 투입 등 강경 대응키로 해 노정 간 정면 충돌이 예상된다. 법무부는 특히 파업 돌입시 이른 시일 안에 경찰력을 투입하고, 노조 지도부에 대해서는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검거에 나설 방침이다.

단병호 민주노총 위원장.권영길 민주노동당 대표.천환규 철도노조 위원장은 28일 새벽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파업은 불법이 아니다"라며 "정부는 파국을 막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건교부는 노조원의 파업 참여율에 따라 화물열차의 90%가 운행 차질을 빚고, 수도권 지하철 50% 이상이 가동을 중단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편 민주노총 산하 현대자동차와 대우조선 등 12개 기업 노조는 이날 일제히 산별체제 전환을 위한 투표를 마쳤다.

김기찬.장정훈.강병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