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주열 한은 총재, “G2리스크 불가피…구조개혁 통해 잠재성장률 높여야”

중앙일보

입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8일 “미국과 중국의 주요 2개국(G2) 리스크는 구조적인 흐름에 따른 불가피한 현상”이라며 “구조개혁을 통해 잠재성장률을 높이고 미래 성장산업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28일 한은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주재하고 미국의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얼마 전까지 확실해 보였던 미국 금리인상이 경제지표가 엇갈리며 12월에 인상할지 혹은 내년으로 넘어갈지 무척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문가 대부분은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면서도 “정책당국으로서는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긴장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경제 불확실성과 관련해 이 총재는 “중국 경제가 물론 둔화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가 일정수준의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중”이라며 “일부에서 우려하는 경착륙 가능성은 작다”고 예상했다. 이 총재는 “미 금리인상 움직임, 중국 성장세 둔화 등 소위 G2 리스크는 불가피한 현상”이라며 “구조적인 흐름이기 때문에 여기에 철저히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G2 리스크에 대비해 구조개혁을 통해 잠재성장력을 높이고 미래성장산업을 발굴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진일 고려대 교수,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 신석하 숙명여대 교수, 정성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금융실장,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수석이코노미스트,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이 참석했다.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