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오전엔 “나를 쳐내라” 오후엔 “제3의 방법 찾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30일 오후 열린 당 의원총회에서 “참는 데도 한계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틀 전(지난달 28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내년 총선 때 도입하기로 뜻을 모은 ‘안심번호 활용 국민공천제’를 놓고 자신을 흔드는 친박근혜계를 향한 경고였다. 김 대표는 오전엔 안심번호 활용 국민공천제를 공개적으로 비판한 청와대

기사 이미지

새누리당 ‘친박계’ 이정현 최고위원(왼쪽)이 30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공천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최고위원은 이날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에 대해 “공천은 각 당이 결정할 문제지 여야 합의 대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이정현·김을동·이인제 최고위원, 원유철 원내대표, 김무성 대표. [김경빈 기자]

고위 관계자를 향해서도 “이런 일을 처음 당했다. 청와대 관계자가 당 대표를 모욕하면 되겠느냐. 참는 건 오늘까지”라며 화를 냈다. 그는 “내가 박근혜 대통령의 성공을 위해 공무원연금 때 전화 테러를 당해 가면서도 열심히 하고 있다”며 “ 청와대가 이래도 되느냐”고도 했다. 의총 중에 잠시 나온 김 대표는 기자들의 질문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안심번호 공천’ 타협점 모색
의총 끝날 때 특별기구 구성 제안
“더 논의하자는 식으로 양보한 것”
“청와대 다섯가지 주장 모두 틀려
당 대표 모욕하다니 … 처음 겪는 일”
김 대표, 청와대 인사·친박에 경고

 -의총에서 청와대에 사과성 발언을 했다는데.

 “내가 왜 사과를 해? 누가 그러나?”

 -청와대가 안심번호 활용에 대해 반대 의사를 명확히 했는데.

 “…할 말 없다.”

 이에 앞서 오전에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대표는 “나를 쳐내라”고 했으며, 회의 전 티타임 때는 “근거 없는 주장으로 나를 비난하지 말라”고 화를 내기도 했다. 이 자리엔 친박계 핵심인 이정현 최고위원이나, 전날(29일) 김 대표를 공개 비판했던 친박계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가 있었다.

 김 대표 주변도 격한 반응을 보였다. 한 측근은 “김 대표가 추진해온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야당의 거부로 좌절되자마자 친박들이 기다렸다는 듯 ‘대안을 내놓으라’고 압박하지 않았느냐”며 “그래서 대안을 내놨는데도 또 흔들어대니 김 대표가 어떻게 더 참겠느냐”고 했다.

 특히 청와대의 공개 비판이 나온 직후 김 대표의 측근들은 흥분했다. 또 다른 측근은 “청와대가 여당 대표의 공천 구상에 대해 미주알고주알 비판을 하는 건 공천에 개입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와 가까운 한 재선 의원도 “청와대가 난데없이 함포사격을 해댄다. ‘김무성 찍어내기’를 노골화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 스스로도 의총에서 청와대 관계자의 ‘안심번호제 5대 불가론’과 관련해 “다섯 가지 주장이 다 틀렸다”고 조목조목 반박하기도 했다. 여기까지만 봐선 김 대표와 청와대 간 ‘전면전’이 전개되는 모양새다.

 하지만 김 대표와 그 주변에선 청와대와의 전면전에 대해선 아직 여운을 뒀다.

 김 대표는 의총 마무리 발언에서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 드리자는 취지는 바뀔 수 없다”면서도 “오픈프라이머리는 양당이 동시에 도입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어 방법을 변경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당내 공식 특별기구를 만들어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기 위한) 제3의 방법을 찾자”고 제안했다. 일종의 타협안을 찾자는 의미였다.

 이런 식의 특별기구가 꾸려지면 친박계 목소리가 반영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안심번호 활용 국민공천제는 여러 아이디어 중 하나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김 대표는 의총 직후 “안심번호 활용 국민공천제가 특위 논의 결과 채택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는 것이냐”는 기자들 질문에 고개를 끄덕였다. 김 대표의 참모 역할을 하는 새누리당 인사는 “ 반대한다면 얼마든지 더 논의해 보겠다는 식으로 양보한 것”이라며 “다만 근거 없이 자신을 비난한 청와대 일각과 친박계엔 확실히 경고를 날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보’와 ‘경고’ 카드를 섞어 일단 갈등을 봉합했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권 내부에선 “공천 갈등의 본질은 아직 건드리지 않아 조만간 진짜 내홍이 불거질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한 여권 관계자는 “청와대와 친박계가 요구하는 것은 결국 무경선 전략공천을 통한 ‘계파 지분’ 인정인데 김 대표가 또다시 외면했다”고 했다. 김 대표는 의총을 마친 뒤 “내가 있는 한 전략공천은 없다”고 말했다. 여권의 공천 싸움은 여전히 휴화산이다.

글=남궁욱·이은 기자 periodista@joongang.co.kr
사진=김경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