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언론 “아베, 과거 침략 의미 희석 … 교묘한 말 담긴 연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40호 2 면

정부는 15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에 대해 “역대 (일본) 내각의 역사인식이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점에 주목한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이러한 입장을 어떻게 구체적인 행동으로 실천해 나갈 것인지를 지켜보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아베 담화 하루 만인 이날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 한·일 간 미해결 과거사 현안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일본 정부에 요구한 내용과 같은 취지다.


중국 언론과 전문가들 대부분은 아베 담화를 비판했다.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아베는 직접적인 사과를 꺼렸으며 침략을 평가절하하려 시도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아베가 침략·사죄·식민지배·반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는 했지만 “(과거의 것을) 인용하거나 요약한 것으로 본인의 생각이 담기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 ‘교활한 레토릭, 불성실한 정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아주 교묘한 말이 담긴 연설이었다”고 평가했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진찬룽(金燦榮)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의 말을 인용, 아베 총리가 “간사한 농간을 부렸다”고 전했다. 그러나 환구시보는 아베 총리가 ‘사죄’ 등의 핵심 표현을 거론한 것은 “억지로나마 국제사회의 ‘최저 요구 수준’에 부합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문은 “중국과 한국 등이 역사문제와 관련해 일본을 압박한 것이 효과를 발휘해 아베가 무라야마 담화에서 더욱 심각하게 벗어나는 것을 막았다”며 “결국 양측이 비겼다고 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 주요 신문들은 아베 총리가 무라야마 담화의 핵심 표현을 담은 사실을 강조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아베 총리가 독자색을 자제했다”며 “공명당과 지지율을 감안한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사설에서 “무라야마 담화를 ‘덮어쓰기’ 한 것이 아니라 역대 내각의 방침을 고수한 것은 적절한 판단이었다”고 평가했다.


반면 아사히신문은 사설을 통해 “대체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담화인가”라며 “전후 70년의 역사 총괄로는 매우 부족한 내용이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침략과 식민지 지배, 반성과 사죄 등 국제적으로도 주목받은 몇 가지 키워드는 포함됐다”며 “일본이 침략하고 식민지 지배를 했다는 주어는 애매하게 됐고, 반성과 사죄는 역대 내각이 밝힌 것으로서 간접적으로 거론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담화는 낼 필요가 없었다” “내지 말았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한국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는 점도 거론됐다. 닛케이는 “담화가 식민지 지배로부터 ‘영원한 결별’의 결의를 보여줬지만 1910년의 일한병합 등 구체적인 일본의 행위에 대해 언급한 것이 아니라 일반론에 그쳤다”고 썼다. 그러면서 “침략 대상이 된 중국을 배려하면서 식민지 지배를 당한 한국에 대해서는 냉담한 문체였다”고 평가했다. 한편 북한 외무성은 담화를 통해 “침략 역사에 대한 인정과 사죄가 담겨 있지 않다”며 “죄악에 찬 과거를 가려보려는 일본 우익 보수세력의 시도가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비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