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침략 진정한 사과를” … 미국 “통절한 반성 표현 환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중국 외교부는 14일 전후 70년 아베 담화에 대해 “일본은 침략 역사를 직시하고 반성하며 이웃 국가와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며 "일본은 피해국 국민에 대한 진정한 사과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관영 신화통신도 논평(영문판)을 내 “아베의 희석된 사과(watered-down apology)는 ‘진정성 시험(sincerity test)’에서 불합격(fails)했다”고 비판했다.

 신화통신은 담화가 발표된 직후 “아베 총리가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회고하는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반성과 사죄를 표시했으며 전후 출생한 일본인들은 사죄의 숙명을 짊어질 필요가 없다는 말도 했다”고 전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아베 총리가 담화 중 ‘이미 과거에 참회와 사죄를 했다’는 표현을 썼다”고 논평 없이 전했다. 신문은 이어 “일본 내각은 여전히 역사를 거울 삼아 공포의 전쟁을 하지 않으며 동시에 과거 전사자들에게 애도를 표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봉황망은 담화가 끝난 뒤 방송한 대담 프로그램에서 “아베 총리의 담화 내용이 향후 한·중·일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참고소식망도 미국 워싱턴포스트 보도 등을 인용해 “아키히토 일본 국왕이 아베의 일방적인 우경화에 상당한 불만을 갖고 있으며 8월 15일 패전일을 맞아 자신의 의견을 발표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내 외교 전문가들도 ‘담화의 진정성이 의심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진찬룽(金燦榮) 런민(人民)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은 “중국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불만이다. 중국인들은 아베 총리가 명확하게 과거 일본의 잘못을 반성하길 바랐지만 사죄를 과거형으로 하는 모호한 방법을 이용해 넘어갔다”고 분석했다. 진 부원장은 “이는 중국은 물론 한국과 동남아 국가 등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피해국들에 대한 모욕”이라고 비판했다.

 미 백악관은 이날 네드 프라이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아베 총리가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에 의해 고통을 받은 이들에 대해 ‘통절한 반성(deep remorse)’이란 표현을 쓰고 나아가 과거 정부의 담화를 지지하는 표현을 쓴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향후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공헌해 나가겠다고 한 아베의 확약을 평가한다”며 “지난 70년간 일본은 평화와 민주주의, 법에 의한 지배를 증명해 왔으며 이 같은 기록은 세계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백악관은 “4개의 핵심 단어가 애매하게 표현된 데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본지의 e메일 질문에 대해선 별다른 답변을 하지 않았다.

베이징·워싱턴=최형규·김현기 특파원 chkc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