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 본격 출범…"정쟁 아니라 국민에 보탬 되는 싸움"

중앙일보

입력

새정치민주연합은 17일 국정원 사찰 의혹과 관련해 안철수 전 대표를 위원장으로 임명한 ‘국민정보지키기 위원회’ 구성을 마치고 본격 활동에 나섰다.

당초 기구 명칭은 ‘국가정보원 불법카톡사찰의혹 진상조사위원회’가 유력했으나, 이번 사안을 기본적으로 ‘국민 정보주권’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안철수 위원장 뜻에 따라 ‘국민정보지키기 위원회’로 바꿨다고 한다. 최근 새로 영입된 손혜원 홍보위원장도 안 위원장과의 조율 과정에서 안 위원장 취지에 공감했다.

새정치연합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에는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신경민ㆍ문병호 의원,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우상호ㆍ송호창 의원, 당 수석사무부총장 김관영 의원 등 당 내 인사 5명이 참여한다.

여기에 외부 전문가로 정태명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 권석철 큐브피아 대표, 김병기 전 국정원 인사처장, 임을규 한양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임강빈 순천향대 교수 등 5명이 합류한다.

안 위원장은 이날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와 당 최고위원들과의 연석회의에서 “저는 정쟁을 위해 이 일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며 “국가안보도 중요하지만 국민의 정보인권도 중요하다. 우리가 정한 모두의 약속을 국가가 잘 지켰는지 확인하려 할 뿐”이라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그러면서 국정원에 두가지를 요구했다. 이탈리아 업체로부터 구입한 해킹 프로그램 ‘RCS(Remote Control System)’의 사용 기록 제출과 타 업체 해킹 프로그램 구입 내역 공개다.

안 위원장은 “수사권이 없는 국회가 할 수 있는 역할은 제한적이다. 그리고 이런 싸움이 정쟁으로 흐르지 않는 경우는 드물었다”며 “그러나 시작해 보겠다. 국민에 보탬이 되는 싸움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대표는 “국정원의 불법 개입과 반국가적 범죄의 진상을 제대로 해명하고 방지하지 못하면 민주 공화국이라고 할 수가 없다”며 “주권자인 국민의 준엄한 심판이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구 기자 kim.hyoungg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