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유승민 의총 허위보고 책임” VS 정두언 “대통령이 원내대표 끌어안아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가 지난 29일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유보되자 30일 당내 친박계와 비박계 의원들은 장외에서 설전을 벌였다. 강경하게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주장하고 있는 친박계 김태흠 의원과 유승민 구하기에 나선 비박계 정두언 의원이 각각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서다.

김 의원은 한 라디오프로그램 인터뷰에서 전날 긴급최고위 결론에 대해 “강약은 있지만,참석했던 최고위원 모든 분들이 지금 상황에서는 유 원내대표가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한다는 의견을 모은 것 같다”며 “모든 최고위원들이 그렇게 얘기하면 (유 원내대표) 스스로 거취에 대해 분명히 입장을 표하고 본인과 당청간의 신뢰를 위해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난 25일 국회법 개정안을 논의한 의원총회 결론에 대해“당시 의총에선 대통령이 국회법 거부권 행사를 하니 재의결을 할 것이냐 자동폐기로 갈 것이냐 하는 방법론적 논의가 주가 됐었다”며 “(유 원내대표의) 책임론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의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봉합해서 가야된다는 사람과 책임론을 제기한 사람의 숫자는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유 원내대표의 재신임 여부를 묻기위한 의총 소집여부와 관련해선 “지금은 표 대결이나 이런 부분보다는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결자해지 차원에서 결단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또한 지금까지 표 대결을 통해서 재심을 물은 사례도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의총 소집요구서 제출을 준비하다 일단 보류한 상태다.

김 의원은 “(유 원내대표가) 당청 간에 긴밀한 협조가 아니라 갈등을 유발했고, 야당에 질질 끌려 다니면서 우리 것을 하나도 얻지 못했다”며 “자기의 정치적인 철학이나 소신을 펼치는데 (원내대표직을) 이용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회법 개정 과정 속에서 청와대와 협의가 이뤄지지도 않았는데 제대로 이뤄졌다고 했고, 위헌 소지가 있어서 국회 운영위 법안소위에 계류된 부분도 정확한 설명이 없었다”며 “왜곡되게 얘기해서 추인받은 것이기 때문에 허위 사실 보고를 한 거고 그래서 책임을 묻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 의원은 또다른 프로그램에서“우리 손으로 뽑은 대표를 밖에서 나가라 마라 하는 것은 민주주의가 아니고 권위주의 정부시대 때 있었던 일이기 때문에 통하지 않는다”며 유 원내대표를 옹호했다. 정 의원은 “당의 주인은 대통령도 아니고 당 대표도 아니고 최고위원 회의도 아니다”라며 “당원들이 주인이고 또 국회의원들이 그 대표격인 주인이니 원내대표 재신임 여부는 국회의원 총의를 모아서 결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지난번 의총에서 압도적으로 재신임을 한 것이고 우리가 뽑은 원내대표는 그대로 가자는게 중론”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유 원내대표만 몰아붙일 게 아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대통령 한마디로 (재신임) 결론을 바꾼다면 이 당은 국민들로부터 웃음거리가 되고 총선도 패배할 것”이라며 “지도부가 대통령의 심기나 안위를 따질 때가 아닌 것 같다”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유 원내대표가 민망할 정도로 사과를 했으면 (대통령도) 이제 받아들이고 적당히 타협해야지 끝끝내 끝장을 보자고 하는건 정치가 아니라 통치다”라고 쓴소리를 했다. 그는 “대통령은 새누리당의 대통령도, 친박의 대통령도 아니고 대한민국의 대통령이다. 큰 어른이다”라며 “통 큰 지도자로서 원내대표를 끌어안고 가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저는 유승민을 지키는 게 아니다. 우리 당을 지키는 거고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이라며 “저는 유승민을 (원내대표로) 찍지도 않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