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별 예금 상품 3개월, 6개월, 2년…'1년짜리 전성시대' 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금융 상품은 기본적으로 '1년'짜리에 투자한다는 상식이 깨지고 있다.

최근 은행들이 다양해진 고객 입맛을 맞추기 위해 3.6개월짜리 금융상품을 잇따라 내놓는가 하면 높은 금리를 얹은 2~3년짜리 예금까지 활발히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은 은행권에선 처음으로 만기가 3개월인 주가지수연동정기예금(KB리더스정기예금)을 16일까지 판다. 지금까지 3개월짜리 상품은 머니마켓펀드(MMF) 정도에 그쳤지만 시중 부동자금을 더 적극적으로 빨아들이기 위해 이 같은 단기 상품을 개발한 것이다. 국민은행의 3개월 지수연동예금은 최고 연 8%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은행 관계자는 "최근 주가 움직임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그동안 6개월 이상으로만 팔던 상품의 만기를 줄여 고객들이 시장 상황에 맞는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 했다"고 말했다.

만기가 6개월인 지수연동예금은 도입 초기엔 없었지만 최근 대다수 은행이 취급하고 있다.

우리은행이 얼마 전 출시한 오렌지정기예금도 6개월짜리가 있으며 3개월마다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를 반영한다. 6월에 출시된 이 예금은 CD 금리가 오르는 만큼 자동으로 금리가 상승한다는 점에서 인기를 끌어 최근까지 판매액이 2조원을 넘었다.

이에 더해 은행들은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고금리의 장기 상품도 내놓고 있다.

우리은행의 '우리 파워인컴 펀드'는 6년짜리로 이달 11일의 국고채(5년 만기) 금리에 1.2%포인트의 가산금리를 얹어 준다. 9일 국고채 금리가 5.43%이었으므로 이 수준이 그대로 유지되면 연 6.6%가량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은행은 이달 말까지 2.3년짜리 정기예금에 기존보다 0.4~0.5%포인트가량 금리를 더 주는 특판을 한다.

1억원 이상 가입할 때 2년 만기는 연 4.8%, 3년 만기는 5.0%의 금리를 적용한다.

김준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