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빙자한 금품수수 없어야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번에 우리가 추진하고있는 「검소한 추석보내기운동」은 공직사회에 잔존해 있는 명절을 빙자한 갖가지 비리와 폐습을 근절하고 사치와 소비성향을 억제하여 모처럼 잡혀 있는 물가안정을 유지하자는 두가지 목적이 있읍니다.』
김성기 사회정화위원장은 명절때면 공직자는 은근히 인사를 기대하는 습관이 남아있고, 국민들은 인사하지 않으면 무엇인가 불이익을 받는다는 관념에서 아직 탈피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이운동은 때가 되면 으례 하는 구호가 아닙니다. 각급기관의 자체감사, 감찰기능 강화, 첩보및 여론수집을 통해 적발되는 비위자는 가차없이 엄단할 것입니다.』 정부의 강한 의지를 그의 「톤」을 통해 느낄수 있다.
-관공서마다 과잉통제로 민원인의 출입을 막는다든지, 공무원들의 대민접촉기피현상도 있는데…
『우리나라 전래의 미풍양속을 막자는것이 아닙니다. 그런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도록 각부처 감사관회의때 주지시켰읍니다.』 그는 안주고 안받기가 공직자 상하간, 기관상호간, 공직자와 민원인 사이의 어떤 명목을 건 금품수수등 뇌물의 근절을 말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관공서의 대민자세가 경직·불친절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힘주었다.
김위원장은 중소기업의 대기업에 대한 하청명목의 상납이 공무원사회 못지않게 성행하고 있다며 중요정화대상의 하나임읕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