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 회항' 사과문 읽다 목멘 조양호 회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조양호(65·사진) 한진그룹 회장이 5일 ‘땅콩 회항’ 사건과 관련해 회사 임직원들에게 사과했다. 조직문화 쇄신을 위한 ‘소통위원회’ 마련도 약속했다.

 이날 오전 10시 서울 공항동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시무식에 조 회장이 참석했다. 연단에 올라 미리 준비했던 신년사를 꺼내든 조 회장은 네 번째 문장을 읽어 내려가다 목이 메었다. “지난해 불미스러운 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그로 인해 마음에 상처를 드린 점 대한항공을 포함, 한진그룹의 모든 임직원 여러분께 깊이 사과드립니다”는 부분이었다. 조 회장은 결국 장녀인 조현아(40) 전 대한항공 부사장 사건과 관련해 임직원들에게 사과하는 대목을 제대로 마치지 못하고 마이크 앞을 떠났다. 나머지 2쪽 분량의 신년사는 지창훈(62) 대한항공 사장이 대신 읽었다. 조 회장은 행사장을 지키며 굳은 표정으로 신년사 대독을 묵묵히 들었다.

 조 회장은 임직원들에게 변화를 약속했다. “회사 내 각 부문 및 사외의 덕망 있는 분들로 구성한 소통위원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경계 없는 의견 개진으로 기업 문화를 쇄신하겠다”는 것이다. 조 회장은 “항공 서비스업은 리콜(recall)이 존재할 수 없다. 원칙과 규정이 지켜질 때 선제적 위기관리도 가능하다”며 “모든 임직원이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관리시스템을 전반적으로 다시 점검해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은 바꾸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교정 당국은 이날 오후 조현아 전 부사장을 독방이 아닌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하는 혼거실에 배치했다. 지난해 12월 30일 서울 남부구치소에 구속 수감된 조 전 부사장은 신입 거실(居室)에서 4명의 다른 수용자와 기본 적응훈련을 받아왔다.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형집행법)에 따르면 수감자는 독방을 우선 배정받을 수 있다. 수용 여건, 범죄 전력, 건강 상태에 따라 구치소장이 독방 수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2011년 1600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신축된 남부구치소엔 이미 2000명 넘게 수감돼 있다. 교정본부 관계자는 “일반 수감자들과 동등한 기준으로 방 배정을 결정했다” 고 설명했다.

김현예·김선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