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공공기관 한곳 배치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대구.경북이 공공기관을 한곳에 모으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그러나 양측이 서로 다른 후보지를 내세워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대구시의 김문수 혁신분권담당관은 4일 "대구.경북지역에 배치되는 공공기관을 한곳에 모아 혁신도시를 만드는 방안을 시.도의 담당자들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담당관은 그러나 "공동 혁신도시의 입지를 놓고 양측의 입장이 엇갈려 진전은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곧 조해녕 대구시장과 이의근 경북도지사가 만나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도가 공동 혁신도시 건립에 합의하면 한국가스공사 등 대구시에 배정된 12개 공공기관과 경북지역으로 이전하는 한국도로공사 등 13개 기관을 합쳐 25개 공공기관이 들어가는 신도시가 등장하게 된다.

대구시는 공동 혁신도시를 건설할 경우 달성군 현풍면이나 북구 칠곡, 동구지역을 적지로 꼽고 있다. 이곳은 대구와 경북의 경계지역으로 양측의 공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북도는 공공기관 이전이 낙후지역의 개발 등을 염두에 둔 만큼 경북지역에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공동 혁신도시를 대구시나 접경지역에 만들려고 한다면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합의가 되지 않을 경우 경북지역에 배정된 공공기관을 한곳에 모아 혁신도시를 만들거나 성격이 비슷한 2~3개 군(群)으로 나눠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치열한 유치전을 벌여온 상주.문경.안동 등 경북지역 도시들이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공동 혁신도시를 만들거나 공공기관을 대구시 인근에 배치하는 것은 애초 낙후지역을 배려하겠다는 이전 취지에도 어긋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광주.전남의 경우 17개 공공기관(18개 중 해양경찰학교 제외)을 광주와 전남의 경계지역에 만들기로 하고 이전 지역을 찾고 있다.

홍권삼.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