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의료비, 전남 고흥이 최고…1인당 연간 진료비 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노인이 많은 농·어촌 지역과 신도시처럼 젊은층 밀집 지역의 연간 진료비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 1인당 연간 진료비가 가장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의 차이는 2.6배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2013년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진료비가 가장 많은 곳은 전남 고흥군으로 1인당 197만4340원을 지출했다. 이어 경남 의령군(197만3404원), 전북 부안군(192만5191원), 전남 신안군(188만7737원)순이었다. 주로 노인층이 많이 거주하는 농어촌이 진료비 상위 지역에 포함된 것이다.

이에 반해 수원 영통구(76만1590원), 창원 성산구(83만3609원), 용인 수지구(85만3585원) 순으로 1인당 진료비가 적었다. 이들 지역은 광교신도시(영통구)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곳으로 젊은층이 많다. 진료비가 가장 적은 수원 영통구와 가장 많은 고흥군의 금액 차이를 비교하면 2.6배다. 1인당 의료기관 방문일수도 가장 긴 경남 의령군(36.8일)이 가장 짧은 지역인 수원 영통구(15.9일)보다 2배 이상 길었다.

질병에 따라서도 지역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고혈압의 경우 강원 지역 환자수가 1000명당 152.9명인데 반해 광주는 90명에 불과했다. 특히 관절염은 전남이 188.1명, 경기가 98.8명으로 2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이른바 빅5(서울대·서울아산·서울삼성·세브란스·서울성모병원)라 불리는 대형병원이 서울에 몰려있어 쏠림 현상도 확인됐다. 서울 소재 의료기관의 경우 전체 진료비의 3분의 1인 33.5%가 다른 지역 환자가 쓴 진료비로 나타났다.

장주영 기자 jyj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