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달·재수현상 줄이는데 주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해설>
문교부가 ①1개대지원 ②2개대지원 ③컴퓨터배정 ④전·중·후기구분등 4개시안중 제②안을 택한것은 수험생의 선택폭을 넓히면서도 올해와 같은 미달사태를 막고 재수현상을 극소화하는데 주안을 둔것으로 풀이된다.
올해의 무제한 복수지원허용을 2개대학 지원으로 줄인것은 이를 허수경쟁에의한 수험생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로 본것같다. 그렇다고 허수를 해소하기위해 1개대학지원만 허용할 경우 전형과정은 단순해지겠지만 수험생의 선택기회가 지나치게 제한되고 재수현상이 크게 늘어난다. 대부분의 대학이 전기에 몰려 1차 불합격 수험생이 다시한번 시도할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당초 문교부는 시안을 제시할때 ②안에서 동일대학내에서의 3개학과 또는 계열지망을 허용토록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바꿔 대학자율에 맡기는 대신 2차전형과 추가모집장치를 마련,미달방지책으로 내놓았다. 이는 대학입학전형방법이 고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붙고보자」는 식의 목적의식없는 학과선택을 조장할수없다는 판단에서 나온것 같다.
문교부는 올해 대학입시에서 있었던 눈치작전과 명문대정원미달 홍역을 겪은후 5개월의 진통끝에 본고사폐지에 따른 눈치작전과 졸업정원제에 따른 미달을 줄이는데 주안을 두고 이같은 방안을 확정했다.
그러나 2차전형·추가모집등의 방법이 졸업정원제에 따른 탈락불안을 얼마만큼 상쇄할수 있을지, 또 2개 지원대학사이에서 최총응시교 선정을 놓고 벌어질 눈치작전이 얼마나 해소될수 있을지는 의문이다.<권순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