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원문제의 돈육적극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전국대학총학장회의가 11일문교부장관 주재로 열렸다.
지난 3월의 개학이래 거의 4개월동안이나 대학의 정상기능이 정지된 상황에서 열린 이 합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대할 수 밖에 없다.
이날 회의를 주개한 이문교는『오늘의 학원사태는 물리적 힘만으로는 해결 될 수 없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무책임한 자유방임을 통해서도 해결할 수 없는 것』 이라고 전제, 『지금 부터는 문교부를 비롯 정부의 모든 기능을 동윈하여 국가의 법질서아래서교권을 확립, 오늘의 학원사태를 교육적으로 극복』하자고 호소했다.
한마디로 대학교수의 주권을확립, 그 주도하의 대학율원칙을 존중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문교부가 적극적인 개입과 협조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문제를 대학의 테두리 안에서 교육적으로 해결해나가도록 노력하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격동기의 사회안에서 대학이 겪어야할 진통을 상기할때 문교가 제시한 이갈은 원칙에의 접근에는 많은현실적 장해가 예상되기는 하나, 원칙적으로 타당한 대학정상화방안이라 하겠다.
대학찰회에 관한 한, 모든 문제는필경 대학의 자율적기능을 최고도로살립으로써 비로소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개중에는 대학교수나 대학자체의 힘만으로써는 문제해결이 어러운 차원의 것도 적지 않을 것이므로 이를 문교당국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가능한한 교육적오로 해결하겠다는데 이론의 여지가 엾다.
따라서 문제는 이같은 교육적 해결의 원칙을 활성화하는데 있어 관계당국자들의 국가적차원에서의 현조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한편 문교부는 휴교중인 대학생들의 면학활동에 관하여 가정학습을 위한 과제물등을 주어 결손 수업을 보충토록 당부했다.
우리나라 대다수 대학생들이 굳이 당국의 이같은 권고가아니더라드 스스로 왕성한 학구정신을 발휘하여 넓고 깊은 사삭과 독서생활에 정진하고 있는줄 믿고있다. 학구부활에는 본래 중단이 있을 수 없을 뿐 아니라, 대학에서의 공부란 원래가 강의실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문교부는 교육의 정치적중립성을 보강하기 위해 교수들의 정치활동을 금지하고 학생들의 학내외를 막론한 집단행동을 엄금한다고 했다.
교육공무원의 정당가입이 법적으로 금지되그 있을뿐 아니라, 엄연히 구별되어야할 원리와 현실참여문제롤 놓고서 특히 대학교수들의 정치활동금지를 거론한 문교브의 의도는 현직에 있으면서 현실정치에 직접참여한극소수 「정치교수」에 대한 경고일 것이다. 교수의 연구·교육기능과 현보적인 정치행동과는 그 성격상 양립되기 어렵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집단항동을 엄격히 규제하겠다는 당국의 방침에 대해서 대학생제군들의 깊은 이해가 있어야 하겠다.학생들이 표시코자하는의사가 제아무리 순수한 것이라 하더라드 그것이 집단적인 시위행동으로 표시될 때에는 흔히 군중심리에말려들어 자칫하면 폭발적인 양상을띄게 됨으로써 학외로부터의 강력한반작용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개발도상국 공통의 현상임을 누구 보다도 대학생 자신들이 잘알고 있을 것이다.
문제가 중대하고 기본적인 성격의것일수록 대학생들은 그 핵심을 지적인대화와 토론을 통해 규명하고 순리적인 의사제시에 노력하는 압성적인 슬기가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하루속히 대학이 정상화되어 이나라의 창조적 지성이 제 빚을 발휘함으로써 학원과 사회에 평화가 회복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