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34곳 올해 구조조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재무상태가 좋지 않은 대기업 34곳이 올해 은행권의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른다.

 20일 금융감독원은 금융권에서 빌린 돈이 500억원을 넘는 대기업 601개사에 대해 채권단이 신용위험평가를 한 결과 34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됐다고 밝혔다.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 개선작업) 추진 대상인 C등급이 11곳, 법정관리(기업회생 절차) 추진 대상인 D등급은 23곳이다. 업종별로는 건설사가 21개(C 4개, D 17개)로 가장 많았고, ▶조선(C 1개, D 2개)▶철강(C 1개)▶기타(C 5개, D 4개) 순이었다. 금융권이 이들 기업에 빌려준 돈은 모두 3조5000억원 가량이다. 은행권이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충당금으로 쌓아야 할 돈은 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 수는 지난해(40개사)보다 다소 줄었다. 하지만 질은 더 나빠졌다. 구조조정 대상 중에서도 상황이 좋지 않은 D등급이 지난해 13개에서 올해는 23개로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이들 기업은 채권단 주도의 워크아웃으로는 회생시키기 어렵다고 판단된 만큼 법원 주도의 법정관리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금감원 민병진 기업금융개선국장은 “건설업황 부진이 이어지면서 D등급 평가를 받은 건설업체들이 크게 늘어난 탓”이라고 말했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이 줄어든데는 정부가 주채무계열 제도의 적용 범위를 확대, 재무구조개선 약정 체결 대상 그룹이 지난해 6개에서 올해 14개로 확 늘어난 영향도 있다. 당장 수술을 받아야할 ‘중증’은 아니지만 미리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받은 기업들이다. 이들은 이번 구조조정 대상 분류 작업에서 제외됐다

 민 국장은 “워크아웃을 신청하는 기업에는 채권은행이 책임을 지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협력업체의 피해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