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의 경고 … "아베 방북 땐 한·미·일 연대 흔들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일본에 ‘아베 방북’에 반대한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공식 전달했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 등 일본 언론들이 16일 보도했다.

 교도(共同)통신과 도쿄(東京)신문은 이날 복수의 미·일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지난 7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상과의 전화회담에서 일본 정부의 납치 문제 대응과 관련,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북한을 방문하면 한·미·일의 연대가 흔들릴 수 있다’며 우려를 전했다”고 보도했다.

 케리 장관은 또 “일본만 앞으로 나서는 것은 좋지 않다. 미국과 일본은 동맹국이다. 북한과의 협상에 대해선 투명성 있게 사전에 상담해 달라”는 요구도 전했다고 일본 언론들은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케리 장관은 “총리가 방북하는 경우에는 (가기 직전에) ‘간다’고 통보하는 게 아니라 그전에 우리들(미국)과 충분히 의논하는 게 좋겠다”는 말도 했다고 한다. 그러곤 “추가 제재 해제에는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게 좋겠다”는 뼈 있는 권고도 전했다.

 전화회담은 약 40분간 이뤄졌다. 당시 일본 정부는 “일·북 협의에 대한 내용을 설명했다”고만 밝혔을 뿐 발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일본 언론들은 “케리 장관이 기시다 외상에게 직접 우려를 전달함으로써 미국 측의 불쾌감을 표시한 것”(마이니치), “한·미·일 연대를 중시하는 미국의 오바마 정권이 ‘북·일 접근’을 경계하고 있음이 선명하게 드러난 것”(도쿄)이란 반응을 보였다.

 도쿄의 한 외교 소식통은 “집단적 자위권 등 안보 문제에 있어선 미국 측에 기우는 것 같지만 다른 한편으론 좌충우돌 ‘독자노선’으로 내닫는 아베 정권의 행태에 미국의 불만이 터져 나온 것”이라고 해석했다.

 한편 기시다 외상은 전화회담에서 케리 장관에게 “언론이 여러 가지로 보도한 것일 뿐 아베 총리의 방북은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 국회에서의 답변은 그냥 일반론이었다”고 해명했다. 기시다는 지난달 3일 국회에서 “(납치 문제) 성과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면서 아베 총리의 방북도 생각해 나갈 것”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 기시다 외상은 또 “북한에 대해 추가 제재 해제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시다는 미국 측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다음 주 중 미국을 긴급 방문할 예정이라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보도했다.

 하지만 미국에 대한 이 같은 ‘제스처’와는 달리 아베 정권은 이미 ‘마이 웨이’ 방침을 굳힌 듯하다. 마이니치는 “아베 총리는 케리·기시다 전화회담 후인 지난 13일 기자단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의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납치 문제는 납치 문제로서 확실히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며 “이에 따라 미국의 일본에 대한 불만이 더욱 고조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16일 “다음 달 9~10일 미얀마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맞춰 납치 문제를 집중 논의할 일·북 외상회담을 제안할 것”이라며 “성사되면 이는 2004년 7월 이후 10년 만의 정식 외상회담”이라고 보도했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