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의대 결국 정리 수순…매각이냐 정원반납이냐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 관동의대생들이 의대교육 정상화를 요구하며 시위를 하는 모습.

관동의대는 결국 정리되는 수순을 밟게 될 것인가. 현재로서는 기정사실로 보인다. 관동대 측이 의대 운영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의대 운영 포기 입장을 내놨기 때문이다.

관동의대생 및 학부모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와 관동대 등은 지난 24일 회의를 갖고 향후 관동의대 대책 마련을 논의했다.

회의에서 관동대 이종서 총장은 정원 반납과 의대 매각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까지 비대위의 대안요구에 현실성이 떨어지는 부속병원 마련 계획만 제시하던 대학측이 의대 포기 입장으로 돌아선 것이다.

관동의대는 부속병원 설립이라는 정부와의 의대설립 부대조건을 지키지 못해 매년 10%씩 의대정원이 감축돼 당초 49명이던 정원이 34명으로 줄어든 상태다.

비대위는 의대생들의 불안하고 부실한 교육여건 등을 이유로 대학측에 현실적인 대안을 요구하며 동맹휴학(예과 1·2년, 본과 1년)을 결의한 상태다.

비대위 관계자는 "이종서 총장이 '현재 의대 유지가 힘든 상황'이라며 (의대) 정원을 반납하거나 매각을 하는 것이 답이라는 입장을 보였다"고 말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관동의대 운영에 소요되는 유지비는 연간 100억원 규모로 이중 60억원 이상이 의대가 아닌 타 대학의 교비로 충당되는 실정이다.

대학측이 재정적 어려움에 부속병원 설립 문제까지 남아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인 결정을 내린 셈이다.

현재 대학측은 의대 매각에, 비대위는 정원반납에 무게를 두고 있는 상황이다. 의대 매각의 경우 먼저 인수를 원하는 재단이 있어야 하고 협상이 필요하다. 반면 정원 반납은 매각보다는 절차가 수월하다. 대학측이 의대 정원 반납 결정을 내리고 이후 학생보호대책을 세운 뒤 정원 반납 대상 학교와 실무적인 논의를 진행한다. 이후 학생 교육 계획과 보호대책을 교육부에 제출하면 승인 후 바로 행정절차게 돌입해 현 관동의대생의 특별편입학이 이뤄지게 된다.

매각은 인수하는 측의 자금여력이 있어야 하지만 정원반납은 기존 의대 정원에 추가인력을 뽑는 만큼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어 매각보다 현실성이 높은 대안으로 꼽힌다.

비대위는 정원반납 형태로 의대가 조속히 정리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비대위 관계자는 "지금 대학이 정원반납 결정만 하면 당장 3월부터 다른 의대에서 학생들의 교육이 가능할 수 있다"며 "대학이 진정성 있게 빨리 추진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신속하게 정원반납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부에 대책을 요구할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교육부로서도 학교가 제대로 된 보호대책을 내놓으면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을 것"이라며 "3월 정원부터 다른 의대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설 연휴가 지난 다음 주부터 교육부와 면담을 통해 정원반납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암 환자에게 더 필요한 의학 빅데이터 [2014/01/28] 
·의사들의 극단적 자해 소동…이번엔 '분신'까지? [2014/01/28] 
·'턱뼈탑'은 말한다 "성형외과들이여 경쟁하라" [2014/01/28] 
·그림으로 만성 희귀질환 극복해요 [2014/01/28] 
·난치성 비염, 단 한 번의 수술로 완치된다? [2014/01/28]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