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동기지·중랑천, 이번엔 개발될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박원순 서울시장이 27일 서울시 강북 4개구(성북·강북·도봉·노원)에 대한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행복 4구 플랜’이란 개발계획은 2030년까지 창동·상계 공공부지에 업무지구를 조성하고 중랑천을 생태하천으로 개발하는 내용이다.

이날 직접 언론 브리핑을 진행한 박 시장은 “이 계획은 서울의 각 권역으로 퍼져 서울의 미래를 바꿀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박 시장의 계획이 2009년 오세훈 전임 시장이 내놓은 ‘동북권 르네상스’와 상당 부분 겹친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재원 조달 방안 등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되지 않아 지방선거를 앞둔 선심성 개발계획에 그칠 거란 우려도 있다.

 이 계획의 핵심은 창동차량기지 이전 부지 개발이다. 2019년까지 남양주로 이전할 창동차량기지(17만9000㎡)와 이전을 추진 중인 도봉운전면허시험장(6만7000㎡) 등 일대 부지 38만㎡에 호텔·백화점·복합공연장 등 대규모 상업시설을 유치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일자리 8만 개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4개 구를 가로지르는 중랑천은 ‘멱 감는 중랑천’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수질 개선과 공원 조성 사업이 이뤄진다. 시는 공사 중인 경춘선 폐선부지 공원화 사업을 묶어 이 일대를 녹색 생활환경 지대로 조성한다.

 또 서울에서 가장 많은 대학(15개)이 모인 여건을 활용해 지식교육 특성화 지역도 조성된다. 광운대와 석계 지역에는 청년벤처 입주공간이 마련된다. 공릉 일대에는 창업지원센터가 건립된다. 박 시장은 “이 지역 170만 인구는 물론이고 의정부·남양주 등 배후도시까지 320만 인구를 아우르는 메가시티의 탄생을 예고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오세훈 전 시장의 ‘동북권 르네상스’처럼 이번에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설익은 개발 청사진이 공개됐다는 지적이 있다. 오 전 시장은 지방선거를 1년 앞둔 2009년 6월 “2020년까지 18조원을 투입해 중랑천 변을 따라 경제·문화 거점을 육성한다”고 발표했었다. 이번 박 시장처럼 직접 마이크를 잡고 브리핑했다. 그러나 재원 마련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없던 이 계획은 오 전 시장이 물러나면서 흐지부지됐다. 국민대 홍성걸(행정학과) 교수는 “부동산 경기가 바닥인 상황에서 대규모 개발 계획의 성공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낮다”며 “박 시장의 개발계획도 지방선거를 의식하지 않았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창동차량기지 이전 비용(1조3000억원) 중 서울시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4000억원이다. 창동차량기지 부지에 상업시설을 유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서울시는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창동차량기지 옆에 위치한 창동민자역사는 공사가 중단된 지 이미 2년이 넘었다. 서울시 이성창 공공개발센터장은 “이전 계획과 다르게 전담부서를 만들고 사업시한을 명시하는 등 내용이 훨씬 구체화됐다”고 말했다.

안효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