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천안함 위문금 관련 의혹 끝까지 파헤쳐야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344호 02면

천안함은 한국 현대사의 큰 상처다. 유가족과 국민의 가슴엔 항상 그들을 향한 눈물이 고여 있다. 차갑고 어두운 바다로 쓸려나간 46명의 해군 용사를 떠올리면 늘 그들의 희생에 옷깃을 여미게 된다. 그런데 그 희생과 슬픔을 모독하는 행태가 벌어졌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11일 최윤희 합참의장 후보자 청문회에서 민주당 김재윤 의원은 “천안함 위문금이 흥청망청 쓰였다”고 발언했다. 그는 최 후보자를 앞에 두고 “천안함 피격 이후 국민이 제2함대 사령부에 위문금을 많이 지원했는데 지휘관 회식비, 지휘관 가족 물품 구입, 선상 파티 등에 사용됐다. 3억1200만원 중 70%만 제대로 쓰이고 30%인 8000여만원이 형편없는 데 쓰였다”며 질타했다. 이 발언은 일파만파를 일으키고 있다. 병사의 피와 국민의 눈물로 모인 성금을 멋대로, 그것도 지휘관 회식비나 선상 파티에 전용했다면 이는 군(軍)뿐 아니라 나라의 치욕이다. 사실이라면 국기 문란 사건인 만큼 철저히 진상을 파악해 관련자들을 엄중 문책해야 한다.

그런데 의혹의 당사자인 해군은 이를 공식 부인했다. 나아가 해군 당국자는 “그 돈은 2010년부터 2012년 중순까지 제2함대 사령부를 방문한 기관과 개인들이 천안함 사건 뒤 고생하는 부대 장병을 위해 위문금으로 사용하라고 기탁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기부금은 기부자의 의도에 맞게 분류돼 천안함 성금은 성금 통장으로, 부대 위문금은 위문금 통장으로 입금됐고, 성금은 즉시 천안함재단으로 송금됐다”고 해명했다. 해군 측은 관련 영수증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부대 위문금이라면 부대 관리훈령 제181조에 따라 ‘장병의 사기 진작과 복리증진 또는 행정 목적을 위해 직접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럴 경우 예를 들어 격려품을 구입해도 ‘천안함 성금 전용’이라 할 순 없다. 국방부가 격려금 사용 내역을 감사한 뒤 과다지출을 지적했지만 돈의 원천이 문제되지 않은 것은 이 때문이라고 해군은 설명한다. 또 해군엔 선상 파티가 아예 없다고 했다.

이런 엇갈린 주장은 국민을 어리둥절하게 만들 것이다. 김 의원과 해군의 주장이 달라도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일부 언론이 ‘천안함 기부금으로 선상 파티?’라며 의혹을 제기하게 만든 김 의원의 말이 맞다면 해군 지도부는 마땅히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러나 거꾸로 해군의 설명이 맞다면 ‘한건주의’ 병이 도진 김 의원이야말로 천안함을 교묘히 이용해 군 흠집내기를 시도한 것이란 의심을 벗을 수 없다. 정치적 책임을 질 사안이다.

우리는 해군에 관련 문서를 명백히 공개할 것을 촉구한다. 아직도 많은 국민이 천안함 사건 원인에 대한 정부 설명을 불신하는 현실에서 이런 의혹 제기 자체가 군을 폄훼하고 국민 갈등을 도지게 할 것이다. 진실만이 의혹을 잠재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