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일본, 위안부 사과는커녕 모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근혜 대통령이 30일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과 만나 일본 정부에 대한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에 참석차 방문한 헤이글 장관이 “한·미·일 3자 안보 관계를 구축함에 있어 한·일 양국의 역사적 문제를 포함한 현실적 문제가 잘 관리돼야 한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박 대통령은 “역사 문제와 영토 문제에 대해 자꾸 시대·역사 퇴행적인 발언을 하는 일본 지도부 때문에 신뢰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상처를 받은 국민이 있기 때문에 국민과 같이 해결할 문제이지 정상 둘이 앉아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국민의 상처는 그대로 있는데 전에도 그랬듯이 일본 지도부에서 또 상처 나는 얘기를 회담 후 던지게 되면 그 회담은 도대체 왜 했느냐 해서 국민의 마음이 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악순환이 된다는 게 참 문제”라고도 했다.

 한·일 관계 개선을 통해 일본이 동아시아 안보 문제에 참여하기를 기대한 헤이글 장관의 질문에 ‘만남을 위한 만남’은 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답을 내놓은 셈이다.

 박 대통령은 위안부 할머니 문제도 거론했다. “위안부 할머니 문제는 지금도 진행되는 역사다. 그분들은 아주 꽃다운 청춘을 다 망치고, 지금까지 깊은 상처를 갖고 살아왔는데 일본이 사과는커녕 계속 그것을 모욕하고 있다. 그 할머니들뿐 아니라 국민도 같이 분노하고, 이래서는 안 된다는 그런 상황”이라고 했다.

 지난달 26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은 채 “21세기에도 분쟁지역에서 여성에 대한 성적 유린이 자행되고 있는 데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했었다.

 이날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도 일본을 ‘비도덕적인 애들’이라고 표현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윤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일본이 (방사능) 오염수를 밖으로 낼 줄을 몰랐다”며 “저렇게 비도덕적인 애들은 외교로 커버해 줘야 했다”고 했다. 그는 “일본이 (오염수 유출 정보를) 알려줘야 하는 의무가 있는데 그런 통보도 없이 바다로 다 흘려보낸다. 황당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과 관련해 윤 장관은 지난달 11일 국회에 출석해 “과학적인 관점에서 얘기하면 현재로선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일본 정부 입장을 장관이 받아들인 것이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국회 발언 실수 이후 일본에 대한 비판 강도를 의도적으로 장관이 높이고 있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

강태화 기자

관련기사
▶ "北 올바른 선택 할 때까지 강력한 대북 억지력 구축해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