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정무비서관 또 전직 의원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박근혜 대통령이 김선동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1급)의 후임으로 주광덕(53·사진) 전 새누리당 의원을 임명했다.

 18대 국회의원 시절 ‘쇄신’을 내건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의원들의 모임인 ‘민본21’에서 회원으로 활동했던 주 비서관은 2011년 말부터 지난해 총선까지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았을 때 비대위원을 지냈다. 주 비서관은 정식 임명절차를 거치지 않았지만 16일부터 청와대로 출근하고 있다. 외교관 출신인 박준우 청와대 정무수석은 “주 비서관과 이미 미팅을 마친 상태”라고 말했다.

 주 비서관의 주임무는 국회, 특히 민주당과의 가교 역할이다. 고려대 법학과를 나와 검사(사시 32회)로 근무하던 주 비서관은 17대 총선에서부터 경기도 구리에서 민주당 친노그룹의 핵심인 윤호중 의원과 1승2패를 기록하고 있다. 17대 총선에선 윤 의원(당시 열린우리당)과 맞붙어 3위를 했다. 당시엔 새천년민주당 소속이었다 .

 한나라당 당적을 갖게 된 건 18대 총선부터다. 이때는 윤 의원을 꺾었으나 19대 총선에서 다시 윤 의원에게 1500표(1.9%p)차로 패했다.

 박 대통령이 김선동 전 비서관에 이어 이번에도 국회의원 출신을 비서관에 임명함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선 여의도 정치를 홀대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국회의원은 국민이 뽑은 선출직이면서 입법부의 일원이다. 주 비서관의 경우 전직이긴 하지만 국회의원 출신으로 그 자리에 있는 건 ‘격’이 맞지 않다는 지적이 다.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은 “(국회의원 출신인) 이정현 정무수석 밑에 김선동 전 의원이 비서관으로 있는 건 몰라도 비정치인인 박준우 정무 수석 밑에 국회의원 출신이 있을 때 주 비서관이 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노무현정부에서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지냈던 민주당 박범계 의원도 “여의도 정치에 대한 격이 맞지 않는 면이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국회의원은 장관급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은 권위주의 정신에 얽매여 있거나 정치를 지나치게 숭상한다는 뜻”이라며 “이번 인사 역시 박 대통령이 추진하는 비정상의 정상화 과정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강태화·김경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