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층이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보통 대기의 온도는 지표면이 제일 덮고 고공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차갑게 마련이다 그래서 더운 공기는 찬공기 보다 가볍기 때문에 위로 올라가 대류작용이 일어난다.
마치 방에 난로를 피우면 난로위의 더워진 공기가 올라가고 찬공기는 내려오는 현상과 같다
역전층은 공기의 층이 반대로된 상태 즉 찬공기가 지표에 깔려있고 더운 공기층이 그위에 덮여있는 상태다. 따라서 찬공기는 무겁기 때문에 지표에 깔린 채 움직이지 않아 아무 공기의 흐름이 없다
이때는 굴뚝이 공기를 빨아내는 힘이 약하여 연탄「개스」는 쭉쭉 빠져나가지 못하고 아궁이나 온돌의 작은 틈으로 스며나오기 때문에 사고가 난다
연통이 빨아내는 힘이 셀때는 온돌에 틈바구니가 있더라도 오히려 방의 공기를 흡수한다
역전층은 주로 ①야간의 복사냉각 ②한랭 온난등 각종 전선이 통과할 때 ③저기압이 걸릴 때 잘 생긴다. 흐린날밤에 중독사고가 잘 나는 것도 이때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