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터뷰] 명품 스테이크를 대중화 하다 ... 스테이크레이브 이수민 대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먹거리 안전 고려해 사장이 직접 모든 소스 만들어...음식으로 치면 노벨상 감.

최근 요식 업계는 무분별한 MSG 사용으로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너도 할 것 없이 앞으로의 음식문화는 안전하고 건강한 재료사용과 철저한 위생시설 및 관리가 기본조건 충족이 되어야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창업에 대한 열기가 뜨겁다. 과거 창업은 은퇴자들이 많은 관심을 가졌었지만 이제는 젊은 대학생들부터 직장인들까지 전 연령층에게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 창업 아이템도 다양해 과거와 달리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

스테이크레이브 압구정점을 운영하고 있는 이수민 대표도 지난해 12월 새로운 창업에 도전했다. 스테이크전문점 스테이크레이브다. 이 매장을 열기 전에는 카페와 한식당을 운영했다.

이 대표가 스테이크전문점 창업에 도전한 이유에 대해 “스테이크는 인기에 비해 국내에서 아직도 대중화 되지 않은 음식이다. 그래서 새로운 시도와 가능성이 보였다”고 말했다. 사실 국내에서는 스테이크하면 떠오르는 것이 바로 빕스와 아웃백이다. 패밀리레스토랑이라고 불리는 이 두 브랜드가 스테이크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역시 가격이다. 스테이크가 많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대중화 되지 않은 이유가 바로 가격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스테이크 하면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과 함께 즐겨야 어울릴 것 같은 음식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고정관념을 깨 맛있는 스테이크는 많은 사람들이 먹을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바로 이수민 대표의 생각이다. 이 대표는 음식에 관한한 치열할 정도로 까다롭다. 본격적인 창업을 하기 전에는 서울 등지의 맛집이란 맛집은 모두 찾아다녔다.

음식을 즐기면서 이 음식이 왜 맛있는지 어떤 재료를 썼는지 하나하나 알아갈 때마다 즐거움은 더욱 커졌다. 하지만 반대로 맛없는 음식, 신선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한 음식에 대해서는 평가도 박하다.

그래서 이수민 대표는 스테이크레이브를 운영하면서도 철저히 원칙을 따른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스테이크에 사용되는 소스다. 이 대표는 “스테이크에 사용되는 소스는 모두 직접 만든다. 화학조미료나 시중에 판매되는 스테이크 소스가 아닌 천연재료를 사용해 우리만의 노하우로 직접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 대표는 항상 고객이 만족할만한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누들스테이크의 경우 음식에 들어가는 최적의 면을 고르기 위해 다양한 면을 직접 조리해 식감과 맛을 평가해보고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 스테이크용 고기도 저렴한 제품이 아닌 호주산 청정 서로인 스테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스테이크레이브 압구정점은 이제 오픈한지 한 달이 지났다. 하지만 고객들의 반응은 폭발적이다. 점심때는 대기표를 받아서 기다려야 할 정도다. 스테이크 가격이 7천원이라는 소리에 처음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맛을 본 손님들은 만족스런 평을 내리고 돌아간다.

이 대표는 “인터넷에 보면 우리 매장에 대한 블로그들이 나온다. 모두다 고객들이 직접 맛을 보고 스스로 작성해 올린 것들이다.”라며 고객들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이 대표 말대로 블로그를 검색해 보면 스테이크레이브에 대한 다양한 블로그를 검색할 수 있다. 대부분 저렴한 가격에 대한 내용과 스테이크의 맛에 대한 평가다. 많은 음식점들이 높은 인기와 수익을 올리기 위해 유가로 블로그마케팅을 펼치는 동안 스테이크레이브는 고객에게 더욱더 맛있고 더욱더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정구 기자 bupdor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