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기처럼 슬기로운 꿈을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303호 27면

‘매양 추위 속에 해는 가고 또 오는 거지만/ 새해는 그런 대로 따스하게 맞을 일이다/ 얼음장 밑에서도 고기가 숨쉬고/ 파릇한 미나리 싹이 봄날을 꿈꾸듯/ 새해는 참고 꿈도 좀 가지고 맞을 일이다/ 오늘 아침 따뜻한 한 잔 술과 한 그릇 국을 앞에 하였거든/ 그것만으로 푸지고 고마운 것이라 생각하라/ 세상은 험난하고 각박하다지만/ 그러나 세상은 살 만한 곳/ 한 살 나이를 더한 만큼 좀 더 착하고 슬기로울 것을 생각하라/ 아무리 매운 추위 속에 한 해가 가고 또 올지라도/ 어린 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고운 이빨을 보듯/ 새해는 그렇게 맞을 일이다’.

삶과 믿음

새해가 되면 꼭 한번 찾아 읽는 김종길 시인의 아름다운 시 ‘설날 아침에’다. 팍팍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착하고 슬기롭게 살자는 시인의 다짐은 언제나 나의 마음을 울린다. 누구나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면 새 희망을 갖고 다시 시작하고 싶다는 바람을 갖는다. 때로는 현실의 냉정함이 한 조각 꿈도 품지 못할 정도로 인생을 삭막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새해에는 아무리 험난한 세상이라도 새벽을 기다리는 파수꾼 같은 마음으로 꿈을 꾸고 싶다.

우리는 인생의 길이 험난할수록 절망하지 않고 착하고 슬기로운 꿈을 꾸어야 한다. 그 꿈이 비록 한 잔 술과 한 그릇 국처럼 소박한 것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그 꿈은 우리를 살맛나게 하는 기쁨이 되고 희망이 된다. 그 꿈이 자신과 이웃에게 큰 유익함을 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매일의 일상에서 자신이 맡은 일에 충실하고 어려운 이웃을 도우려 애쓰고, 가난한 이와 함께하려는 모든 노력은 분명히 사랑을 실천하고 있는 증거가 된다. 그러한 사람들의 열매는 언제나 향기롭고 아름답고 풍요롭다.

우리는 일생의 꿈을 지니고 10년 후의 목표와 1년 후의 목표, 지금 오늘의 목표를 지니고 살아야 한다. 아침에 눈을 뜨고 창문을 열었을 때 마음속으로 하루를 설계하고 그날의 할 일이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 그 일이 작은 사랑의 실천이 된다면 더더욱 행복한 사람이다. 꿈을 꾸는 사람, 그는 진정 행복한 사람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어려운 가운데 자신보다 더 어려운 이웃을 돕고 나누는, 따뜻하고 다정한 이웃도 많이 있다. 그들은 어두운 밤을 비추는 새벽의 여명과도 같은 존재들이다. 그런 이들은 우리로 하여금 다시 한번 꿈과 희망을 갖게 한다.

“너는 정말 날고 싶니?” “네, 날고 싶어요.” “날고 싶다면 너는 갈매기 떼를 용서하고 많은 것을 배워서 동료들에게 돌아가 그들이 정말 나는 것을 도와주어야 한다.” “높이 나는 새만이 멀리 볼 수 있단다.” 리처드 바크의 갈매기의 꿈에 나오는 대목이다. 이 책은 내게 일생의 선택을 하게 했다. 사제의 길을 가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시내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버스에서 책을 읽던 순간 이유 모를 흥분이 나를 감쌌던 기억이 아직도 뚜렷하다. 무작정 주인공 갈매기처럼 먹이만 찾는 삶을 살지 않고, 높이 날아 멀리 보고 싶었던 그때의 기억이.

새해엔 매일의 일상을 그냥 사는 것이 아니라 높이 날아 멀리 볼 수 있는 우리들이 되길 꿈꾸어 본다. 희망의 새해엔 서로 용서하고 나와 다른 이의 마음을 헤아리고 어려운 이에게 먼저 손을 내미는 우리들이 되길 희망해 본다. 그러기 위해 오늘도 우린 갈매기처럼 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멋지게 저 하늘을 비상하는 그날을 꿈꾸며.



허영엽 천주교 서울대교구 대변인·문화홍보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오랫동안 성서에 관해 쉽고 재미있는 글을 써 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