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향가의 체계적 해독 시도-"음운체계 없는 한자음 해독은 잘못"

    고려대 박병채 교수는 지난 10년간의 연구결과를 집약해서 최근 『고대 국어의 음운체계 재구성론』 (고려대 민족문학연구소간 「민족문화연구」제5호)을 발표했다. 그 시론은 특히 이제까

    중앙일보

    1971.09.06 00:00

  • 『훈몽자회』최고본영인 출판

    『훈몽자회』최고판본의 영인본이 나왔다. 단국대부설 동양학연구소(소장 이희승)의 동양학관계 사료영인사업 제1집으로 나온 『훈몽자회』는 이조 중종 22년(1527년)에 당대 한학의대가

    중앙일보

    1971.09.02 00:00

  • (3) 하와이대 국제학술회의 발표 논문초|이기문(서울대교수)

    한자를 매개로 표기|언어단일화는 통일신라 때 한국어의 역사는 한반도에서 언어적 통일이 성취되고 그것이 문명어로 성장해온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고대에는 북방에 부여계 제어, 남

    중앙일보

    1971.06.08 00:00

  • 한글날의 반성

    한글반포 5백24돌을 기념하는 한글날을 다시 맞는다. 5천년 한국사뿐만 아니라, 세계문화사 전체를 통해서도 불세출의 영주였다고 할 수 있는 세종대왕이 친히 오랜 연구 끝에 창제한

    중앙일보

    1970.10.09 00:00

  • 현대「맞춤법」에 이의 있다|서울대 문리대 교수 허웅

    얼마 전에 문교부에서 맞춤법과 표준말을 다시 사정한다는 말이 나오게되자 맞춤법을 근본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오게 되어서, 그동안에도 상당한 물의를 일으키고있다. 필자도

    중앙일보

    1970.10.07 00:00

  • 한글판본 관계 자료전

    국립중앙도서관소장 한글판본 관계 자료전이 24일부터 연말까지 열리고 있다. 국학연구에 있어서 한글 판본의 중요한 위치를 새로 인식시키고 그 인물을 보이기 위해 50종을 추려 전시했

    중앙일보

    1970.09.25 00:00

  • 한자 폐지는 가능한 일|한글로 기계화를

    한자는 매력있는 글자이다. 「상형문자」에서 출발하여「자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만이나 되는 글자를 만들어낸 중국민족은 과연 위대한 지혜를 가진

    중앙일보

    1970.01.06 00:00

  • 사실은 사실대로

    어수선한 세상사에 동방교 음독사건까지 겹쳐서 그냥 지나쳤지만 한글 문제를 두고 생각나는 일이 몇 가지 있다. 인물이 워낙 큰 인물일수록 본인이 꿈에도 생각지도 않은 것을 후대가 발

    중앙일보

    1969.10.10 00:00

  • 본받아야할 세종대왕의 고지

    한글창제 5백23돌을 기념하는 「한글날」을 맞이하게 되었다.개국이래 거의 4천년이 지났건만, 그때까지만해도우리에게는 고유한 국어문자가 없어, 한자어 의성운을 빈 이두 만이 우리의어

    중앙일보

    1969.10.09 00:00

  • 서예의 미

    제17회 국전에서 서예가 대통령상을 차지해 이에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다. 최근 추사 김정희의 한폭 붓글씨가 4천만원을 홋가한다는 소식이 전해져 귀를 의심할만큼 어리둥절케하고 있다.

    중앙일보

    1968.10.12 00:00

  • 내 말의 생명과 한글 전용

    이번 한글날을 맞이해서 학자나 학회간에 벌어지고 있는 이야기는「한글전용」이란 어려우니 한문자를 섞어 쓰면서 점차로 계단을 밟아 나가야 할 것이라든가 또 한문자를 철폐할 수 없다는

    중앙일보

    1968.10.10 00:00

  • 언어문자의 기능

    9일은 한글날-. 이씨조선의 4대군주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제정, 반포하신지 이날로써 5백22주년이 된다. 정음이 제정됐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은 개국이래 거의 4천년이 지났건만,

    중앙일보

    1968.10.09 00:00

  • 한글날에 바란다.|한자 폐지 현실과 이상

    한글날은 매우 특수한 날이다. 이런 날을 가진 것은 우리나라 밖에는 있는 것 같지 않다.그만큼 우리민족은 우리문자를 소중한 자랑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자랑이 자랑에 그치는 느낌이

    중앙일보

    1968.10.08 00:00

  • 연구기관 설치부터|국어국문학회 한글날기념 강연

    9일로 한글을 편지 5백22돌을 맞는다. 국어국문학회는 한글날을 기념하여 지난4일 명지대강당에서「현행 맞춤법의 문젯점」(김동욱·연세대),「한글의 단계적인 전용」(강신항·성균대),「

    중앙일보

    1968.10.08 00:00

  • (21) 칼라의 눈(128)

    1967년5월1일은 우리나라의 신문과 인쇄의 역사에있어서 특기할만한 날이다. 이날 처음으로 신문인쇄에 종전처럼 활자를 손으로 뽑는대신에 기계로뽑게된것이다. 중앙일보에 설치된「모노

    중앙일보

    1968.04.06 00:00

  • 「한글날」521돌

    『세종 임금 한글 펴니 스물 여덟 글자』 521돌 한글날 기념식이 세종대왕 기념사업회와 한글학회 주최로 서울시민회관에서 조촐히 열렸다. 배재고등학교 악대의 주악으로 시작된 이날기념

    중앙일보

    1967.10.09 00:00

  • 한글과 문화의 독창성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제정, 반포하신 지 오늘 9일로써 꼭 5백21돌이 된다. 개국이래 거의 4천년, 이씨 조선이 개벽된지도 벌써 반세기가 지났건만 그때까지만 하여도 우리의 언어

    중앙일보

    1967.10.09 00:00

  • (36) 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캠페인」|「커뮤니케이션」과 언어의 의미 - 대표집필 정인섭

    「그리하야」보다 「그래서」 요즘 학교의 학습 과정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위치가 중요시되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사회 발전의 수단으로서 또는 각 개인의 사회적 지식 수준의 향

    중앙일보

    1967.09.07 00:00

  • 한글과 민족의 예지

    「한글 날」의 첫째 의의를 든다면 우리의 나라글인 한글은 인류의 문자사상 가장 발달된 글이라는 것이다. 훈민전음 반포당시 28자, 현재는 홀소리 10자에 닿소리 14자인 24자라는

    중앙일보

    1966.10.08 00:00

  • 9일은 한글날 5백20돌|한글의 수난과 영광

    9일은 5백20돌을 맞는 한글날-. 세종28년 음력9월 훈민정음이 반포된이래 연산군의 한글폐지령, 조선어학회사전, 한글간소화 파동등 숱한 곤난을 겪었다. 한글이 겪은 이 수난과 영

    중앙일보

    1966.10.08 00:00

  • 언어학의 정수 여암 신경준|근대화의 여명 (19)|이조중엽∼말엽 인물중심-유홍열

    신경준 (경준)은 쟁쟁한 양반집 자손으로서 40세를 넘어서야 비로소 벼슬길에 올랐다. 그 이전에 이미 훈민정음운해 (운해) 라는 한자의 발음책을 한글을 섞어서 지어낸 언어학의 정

    중앙일보

    1966.07.16 00:00

  • 한자에서의 해방 다짐 갖가지 행사도

    5백19돌을 맞는「한글날」인 9일­한글학회와 세종대왕 기념사업회는 기념식을 갖가지 행사를 벌이는 한편,「한문글자에서의 해방」을 선언, 한글전용을 외쳤다. 이날 상오10시 서울시민회

    중앙일보

    1965.10.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