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61)휴전회담(후반부)(13)

    이승만 대통령은 포로송환 문제로 휴전 본 회담이 무기휴회 중이었던 53년 초에 반공포로 석방 결심을 최초로 원용덕 헌병 총사령관에게 밝혔다. 한국군도 「유엔」군의 일원으로 모든 작

    중앙일보

    1973.05.23 00:00

  • (460)휴전회담(후반부)(12)

    자유송환을 주장하는 「유엔」측과 강제송환을 고집하는 공산측이 휴전회담에서 1년여 동안 논란을 거듭한 포로송환 문제는 6·25반공포로 석방으로 결과적으로는 대한민국이 자유송환 원칙을

    중앙일보

    1973.05.21 00:00

  • (459)휴전회담(후반부)(11)

    반공포로 석방은 포로자신들과 군·경, 일반국민이 삼위일체가 되어 일사불란하게 수행되었다. 휴전조인이 임박함에 따라 석방 D「데이」를 부랴부랴 6월18일로 잡았기 때문에 실행계획이나

    중앙일보

    1973.05.18 00:00

  • (453)|휴전 회담 (후반부) (5)|이 대통령의 항거 (2)

    이 대통령은 1953년4월19일에 이어 다시 판문점 본 회담 재개 2일전인 4월24일에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양유찬 주미 대사를 시켜 중공군의 북한 잔류 허용을 전제로 한 휴전

    중앙일보

    1973.05.04 00:00

  • 민족의 증언(450)|휴전회담(후반부)(2)|복병 포로교환(2)

    상병포로교환을 토의하는 첫 회담은 1953년4월6일 판문점에서 열렸다. 「존·C·대니얼」 미 해군소장과 이상조가 각각 쌍방 연락장교를 대표했는데 회담은 급진전하여 8일에는 송환될

    중앙일보

    1973.04.25 00:00

  • (498)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사계 여록(125)|양유찬

    52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아이젠하워」장군은 한국전의 종결이 가장 큰 과제 중의 하나였다. 나의 외교관 생활 20년중 이때처럼 어려운 시기는 없었다. 되도록 빨리 휴전을 성

    중앙일보

    1972.06.29 00:00

  • (328)|「아이크」 집권과 내한 (4)|3일간의 방한 (1)

    1952년11월29일, 대통령 당선자 「드와이트·D·아이젠하워」 원수는 그가 「디트로이트」시에서의 선거 유세 때 공약한 한국 방문 길에 올랐다. 이보다 앞서 11월5일에 「트루먼」

    중앙일보

    1972.05.19 00:00

  • (441)제26화 경무대 사계

    전장이 한참 진행되던 부산 피란 시절에는 고위 인사 자제들 가운데 병역 기피자가 상당히 있었다. 이 얘기가 대통령 귀에까지 들어갔다. 이 대통령은 어느 날 임시 관저에서 열린 국

    중앙일보

    1972.04.24 00:00

  • (222)|남과 북의 포로수용소(14)|「도드」준장의 피랍(3)

    「마크·클라크」대장은 공산포로들에게 굴욕적인 양보를 하고 「도드」준장이 석방된 지 이틀만인 5월 12일에 「매튜·B·리지웨이」대장으로부터 「유엔」군 총사령관의 직책을 이어받았다.

    중앙일보

    1971.09.01 00:00

  • (220)남과 북의 포로수용소(12)|「도드」준장의 피랍(1)|「6·25」20주…3천여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1952년 5월7일 아침 거제도포로수용소장 프란시스·도드 준장은 제76수용소 포로대변인으로부터 면회신청을 받았다. 공산주의자의 흉계나 멀리 북쪽의 평양으로부터 여기 수용소 안에 비

    중앙일보

    1971.08.27 00:00

  • (234)|한-미 합동첩보비화「6006부대」(13)|윤일균

    오늘은 이미 기록한 한-미 합동항공첩보작전에 의해 수집된 귀중한 첩보가 정보 화하여 실지 항공작전 면에서 어떻게 이바지했는가를 미 공군의 활동을 통해 적어보기로 하겠다. 6·25

    중앙일보

    1971.08.18 00:00

  • (227)제16화 한·미 합동첩보비화「6006부대」(6)

    38선 이북 동해와 서해의 수많은 섬 치고 6·25동란 때 특수해상도서작전에 참가한 용사들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다. 육지의 전선은 훨씬 밑으로 처져있었으나 바다에서는 평북

    중앙일보

    1971.08.09 00:00

  • 휴전조인 18돌

    27일은 휴전협정조인 18주년 기념일이다. 53년7월27일 당시 「유엔」군 사령관 「마크·클라크」장군과 북괴대표 남일, 중공대표 팽덕오가 판문점에서 휴전문서에 조인함으로써 3년 동

    중앙일보

    1971.07.27 00:00

  • 한국 휴전은 불명예로 시작됐다

    『미국을 비롯한 자유우방이 이승만 박사의 주장만 따랐더라도 한국의 통일은 17년 전에 벌써 이뤄졌을 것이다.』-조국의 허리를 다시 끊어놓은 한국 휴전조인 17돌을 맞아 당시 정전회

    중앙일보

    1970.07.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