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도쿄서 미술 배운 이완석, 공예 통해 한·일 문화 교류 힘 써

    도쿄서 미술 배운 이완석, 공예 통해 한·일 문화 교류 힘 써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미술활동가 이완석(李完錫, 1915~ 1969)은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다. 도쿄의 대성중학교를 졸업한 후 태평양미술학교에 다녔다. 전공이 디자인이

    중앙선데이

    2023.04.01 00:21

  • 그리기를 포기하자 색이 튀어 나왔다. 화가 하태임의 컬러밴드가 갖는 의미 [더 하이엔드]

    그리기를 포기하자 색이 튀어 나왔다. 화가 하태임의 컬러밴드가 갖는 의미 [더 하이엔드]

      형형색색의 컬러밴드가 어디론가 달려간다. 아니, 튀어 올라 부양한다. 응축된 에너지가 폭발한다. 작가 하태임의 그림 ‘컬러밴드’ 시리즈를 보면 드는 느낌이다. 그의 작품은 지

    중앙일보

    2022.12.16 09:00

  • 박서보, 최종태, 김구림...거장들의 미술관 줄줄이 건립 준비

    박서보, 최종태, 김구림...거장들의 미술관 줄줄이 건립 준비

    서울 구기동에 지어질 박서보 단색화 미술관 이미지. [사진 가나아트재단] 단색화의 기수 박서보(90), 조각계의 거장 최종태(89), 한국 전위예술의 선구자 김구림(85) 등 한

    중앙일보

    2021.02.23 13:56

  • [월간중앙] 김경희 한국수채화작가회 회장의 미학 세계

    [월간중앙] 김경희 한국수채화작가회 회장의 미학 세계

    붓을 들면 미움도 슬픔도 소유욕도 기쁨조차도 전혀 못 느껴 건국대 이사장 맡아 모두가 불가능하다는 일 이뤄 최고 보람   김경희 한국수채화작가회 회장 (전 건국대 이사장)이 20

    중앙일보

    2020.01.02 00:03

  • “초창기 균열 연작, 갈라진 그림 걸면 망한다며 안 사가”

    “초창기 균열 연작, 갈라진 그림 걸면 망한다며 안 사가”

    추상화가 윤명로 화백의 개인전이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다. ‘균열’ 연작, ‘익명의 땅’ 연작 등 60여 점이 전시된다. [사진 인사아트센터]“물이 아무리 맑아도

    중앙일보

    2017.01.24 02:05

  • 베스트셀러엔 무관심… 문화 품격 지키는 ‘올바른 서점’

    베스트셀러엔 무관심… 문화 품격 지키는 ‘올바른 서점’

    “트론스모를 통해 세계를 읽는다.” 노르웨이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인문학 책들을 비치하고 있는 트론스모서점. 지하는 세계 고전만화들의 전용공간이다. 주소 Universitetsg

    중앙선데이

    2015.11.29 00:33

  • [트렌드 &] 오래되니 새롭군요 … 한국 노장들에 쏠린 눈

    [트렌드 &] 오래되니 새롭군요 … 한국 노장들에 쏠린 눈

    지난달 런던에서 열린 아트페어 ‘프리즈’의 원로 작가 섹션 ‘마스터스’에 설치된 이승택(82)의 ‘코드(code)’. 벽에 노끈을 매어 만든 드로잉으로 1974년 선보인 것을 재현

    중앙일보

    2014.11.07 00:08

  • [문화 단신] ㈜서울옥션, 대표이사에 이학준 전무이사 선임 外

    [문화 단신] ㈜서울옥션, 대표이사에 이학준 전무이사 선임 外

     ◆㈜서울옥션은 20일 이학준(43·사진) 전무이사를 대표이사에 새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신임 이학준 대표이사는 1999년 9월 ㈜서울경매(현 ㈜서울옥션)에 창립멤버로 합류, 총괄

    중앙일보

    2008.10.21 01:37

  • “국립미술관 서울시내에 만들자”

    서울 시내에 국립미술관을 만들자는 미술계의 요구가 조직화되고 있다. 이들은 경복궁 옆 소격동 기무사 부지, 덕수궁 석조전 동관을 미술관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기무

    중앙일보

    2008.09.01 02:12

  • 서양화의 선구자가 동양화 그린 까닭은 …

    서양화의 선구자가 동양화 그린 까닭은 …

    ▶ 춘곡이 30세 되던 1915년 비단에 채색화로 남긴 ‘청계표백’. 개울가에서 부부가 빨래하는 장면을 전통 풍속화처럼 담았지만, 내용은 윗옷을 벗어부친 남편이 부인과 함께 방망이

    중앙일보

    2005.07.07 06:51

  • 日서 미술 공부… 현대미술운동 선구자

    유영국(1916~)씨는 15세 때까지 살았던 고향 강원도 울진의 높은 산, 짙푸른 바다에서 그의 작품세계의 근간이 되는 원초적 체험을 쌓았다. 1935년 일본인 담임선생과의 불화

    중앙일보

    2002.08.27 00:00

  • [운보의 삶과 작품세계] 산수에 담아낸 '바보의 미학'

    23일 타계한 운보 김기창 화백은 왕성한 실험정신으로 구상과 추상을 넘나들며 뛰어난 작품들을 선보인 한국화단의 거목이다. 그는 7세때 장티푸스로 인한 고열로 후천성 귀머거리가 됐다

    중앙일보

    2001.01.26 00:00

  •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전

    추상미술을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뭘 말하려는지 아리송하기 때문이다. 사과면 사과, 꽃이면 꽃, 그림 속에 뭔가 모양이라도 있으면 나으련만 도무지 '무엇' 인지 이해하기가

    중앙일보

    2000.03.14 09:54

  • 호암갤러리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전'

    추상미술을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뭘 말하려는지 아리송하기 때문이다. 사과면 사과, 꽃이면 꽃, 그림 속에 뭔가 모양이라도 있으면 나으련만 도무지 '무엇' 인지 이해하기가

    중앙일보

    2000.03.14 00:00

  • 덕수궁미술관 개관전 '다시찾은 근대미술'

    오는 12월 1일 덕수궁미술관이 정식으로 문을 연다. 덕수궁미술관은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최만린) 분관 자격으로 덕수궁 석조전 서관에 자리잡는다. 전시공간 약 4백평. 대규모는 아

    중앙일보

    1998.11.23 00:00

  • [문화지도]69.행위미술(1)

    관객 앞에서 신체를 매개로 행해지는 일체의 예술을 뜻하는 '퍼포먼스' 를 우리말로 번역해 행위예술, 또는 행위미술이라 한다. 우리나라에 행위미술이 처음 선보인 것은 지난 60년대

    중앙일보

    1997.10.29 00:00

  • [문화지도] 59.앵포르멜 (1)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있어서 본격적인 추상미술은 50년대 후반의 앵포르멜 (Informel.비정형 미술운동)에서 출발한다. 앵포르멜을 태동한 50년대는 일제시대 조선미술전람회 (鮮

    중앙일보

    1997.07.30 00:00

  • 49. 채색화 작가들 (1)

    근대 한국화단의 큰 줄기는 크게 수묵화와 채색화 계열로 나눠볼 수 있다.지난 제44圖(본지 3월13일자 12면 참조)에서는 이 가운데 수묵화계열 작가들의 맥을 짚어 보았고,이번 지

    중앙일보

    1997.04.24 00:00

  • 안윤희.김광문.조완규.구인환.김향수.조정순 등

    ◇安侖熙 경찰대학장은 11일 오후1시 경찰대 대강당에서 경찰대 개교13주년 기념으로「신한국창조를 위한 민주질서의 새로운 모색」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 ◇金光文 한국병원건축연구회

    중앙일보

    1993.10.11 00:00

  • (4)「타고난 예술감각」미주서 꽃피워

    한국인들이 나라밖 어디를 가나 고유의 풍습을 끈질기게 이어나가는 전통을 고수하고있는 예는 비단 코메리칸에만 국한되는 사례는 아니다. 만주의 조선족들이 그렇고 30년대말 스탈린의 강

    중앙일보

    1993.02.05 00:00

  • 동·서양 장르 뛰어넘어 「한국회화」정립|「윤명노 회화전」, 21일∼내달17일 호암갤러리

    중진 서양화가 윤명노씨(55·서울대교수)의 화업 30년을 집중 조명하는 「윤명노 회화전」이 21일부터 11월17일까지 호암갤러리에서 열린다. 이 전시회에는 윤씨의 60년대 초기작품

    중앙일보

    1991.10.16 00:00

  • 「혼 불의 작가」하린두 화백 회고 전

    지난해 11월12일 암으로 타계한「혼 불의 작가」하린두 화백(1930∼1989)의 대규모 회고전이 29일부터 11월22일 까지 호암 갤러리에서 열린다. 이 전시회에는 하 화백의 5

    중앙일보

    1990.10.24 00:00

  • 화가 하린두 씨 별세

    화가 청화 하린두 씨(사진)가 12일 오전5시 서울위생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59세. 고 하화백은 경남 창령 출생으로 홍익대 미대를 거쳐 서울대 미대 회화과를 졸업했으며 50

    중앙일보

    1989.11.13 00:00

  • "한·중 서화 본격교류 계기 됐으면"

    작고명인을 포함한 중국현대서화가 1백63명이 출품한 「88중국현대서화전」(10∼24일·서울 시립미술관)의 조직자인 한경유씨(62·향장사기업집단·구단화랑대표)가 한국에 왔다·86년

    중앙일보

    1988.11.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