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재불 추상화가 김기린 화백 별세

    재불 추상화가 김기린 화백 별세

    고 김기린 화백. [사진 갤러리현대] 원색의 강렬한 '모노크롬화'로 유명한 추상화가 김기린(金麒麟) 화백이 프랑스 파리에서 별세했다. 향년 85세.   1936년 함경남도 고원에

    중앙일보

    2021.08.15 12:14

  • 거실·안방에 걸고 싶은 생활 속 미술품과의 만남

    문턱 낮은 미술견본시로 자리잡은 ‘서울오픈아트페어(SOAF)’ 2016년 장터가 11~1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11회째를 맞은 올 행사의 핵심은 대중친화성이다. 국내

    중앙일보

    2016.05.06 00:30

  • 한국 단색화의 세계미술사 도전

    한국 단색화의 세계미술사 도전

    지난 5일 홍콩에서 열린 서울옥션 경매에서47억 2100만원에 낙찰된 김환기의 점화‘19-Ⅶ-71 209’. 미술품 가격과 작품성이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최고가 작품이 최고작은

    중앙선데이

    2015.10.18 00:21

  • 나만의 것 찾아 45년 알아주는 날도 오네요

    나만의 것 찾아 45년 알아주는 날도 오네요

    가히 단색화 열풍이다. 꽁꽁 얼어붙은 한국 미술시장을 유일하게 지피는 군불이다. 미술품 경매회사인 서울옥션의 올해 마지막 오프라인 경매(17일)에서 단색화 작가들의 작품 12점이

    중앙선데이

    2014.12.27 01:06

  • "70년대 한국 단색화 보자" … 전세계 컬렉터 100명 몰렸다

    "70년대 한국 단색화 보자" … 전세계 컬렉터 100명 몰렸다

    LA 블럼&포 갤러리에서 한국 단색화전이 열리고 있다. 고(故) 윤형근의 작품이 전시된 방에 화가들이 모였다. 왼쪽부터 박서보·정상화·하종현. [LA=권근영 기자] 조앤 기 큐레이

    중앙일보

    2014.09.15 01:07

  • 단색화의 귀환 … 안료 밀어내거나, 연필을 잡아 끌고, 종이를 찢기도

    단색화의 귀환 … 안료 밀어내거나, 연필을 잡아 끌고, 종이를 찢기도

    “오래 살아서 다행이다 싶어요. 40여 년만에 다시 보는 그림도 있는데, 그림도 나와 함께 늙었네요. 나 역시 새로워지고, 마음이 세탁되는 기분입니다.” 정상화(82) 화백은 미

    중앙일보

    2014.09.14 17:02

  • 단색 추상화, 가난하고 자유없던 70년대를 읽는 거울

    단색 추상화, 가난하고 자유없던 70년대를 읽는 거울

    최병소의 ‘무제’. 신문지에 볼펜과 연필을 빼곡히 덧칠해 나무껍질처럼 거칠거칠한 느낌을 준다. 350×76×80㎝. [사진 국립현대미술관]1970년대 최병소(69)는 신문지 위에

    중앙일보

    2012.04.04 00:24

  • 뻔하면...뒤집어라!

    뻔하면...뒤집어라!

    1 조형석 작가의 물푸레나무 침대 위에 앉아 있는 로버트 스태들러. “다보탑은 석가탑보다 만들기가 훨씬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석가탑이 다보탑보다 나중에 완성되었다는 사실에서 보

    중앙선데이

    2012.01.14 19:49

  • 인터뷰 텍스타일 디자이너 장응복씨

    인터뷰 텍스타일 디자이너 장응복씨

    텍스타일 디자이너 장응복은 한국적이면서 현대적인 작품들을 통해 편안하고 아름다운 공간을 만들어내는 사람으로 평가 받는다.  타워팰리스·하이페리온 등 고급아파트 모델하우스와 명문가

    중앙일보

    2011.03.22 05:57

  • 한국 미술의 잠재력을 찾아서…

    한국 미술의 잠재력을 찾아서…

    김홍주의 ‘1980년대-무제’ 드로잉(drawing), 작가의 상상이 시작되는 곳. 쓱쓱 흘려 그린 연필 스케치일 수도, 한 장의 사진이나 몇 분간의 동영상일 수도 있다. 한국예

    중앙선데이

    2010.10.10 01:53

  • 單色調 평면회화 '뜯어보기'

    '모노크롬'이란 단어는 1970년대 한국 화단을 주도했던 집단적 회화 양식을 부르는 이름이다. 흔히 '단색조'라 옮기지만 '평면적인 흰색 화면'이라 간단히 치워버리기에는 만만치

    중앙일보

    2002.11.20 00:00

  • 전환기에 우뚝 선 9인의 향연

    1970년대는 한국 현대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의 시기로 꼽힌다. 이 시기에 김환기(1913~74) 는 초기의 구상회화에서 벗어나 몬드리안적인 기하추상에 격조있는 정신성을 담은

    중앙일보

    2001.09.26 07:54

  • [미술]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1970~90

    1970년대는 한국 현대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의 시기로 꼽힌다. 이 시기에 김환기(1913~74)는 초기의 구상회화에서 벗어나 몬드리안적인 기하추상에 격조있는 정신성을 담은 '

    중앙일보

    2001.09.26 00:00

  • 송수련씨, 갤러리 우덕서 개인전

    한국화가 송수련(宋秀璉ㆍ56ㆍ중앙대 교수)씨의열한번째 개인전이 24일부터 5월 4일까지 서울 잠원동 갤러리 우덕에서 열린다. 전시작은 500호 한 점을 비롯해 모두 20여점. 송씨

    중앙일보

    2001.04.16 15:44

  • [전시] 미니아트마켓

    총 3부로 구성된 노화랑의 '미니아트마켓' 은 한국 현대미술의 출발점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자리. 매회 9명의 작가가 독립 부스에서 작품을 소개하는

    중앙일보

    1999.05.28 00:00

  • 54. 모노크롬 (1)

    한국 현대미술의 정착기라고 일컬어지는 70년대.이 시기를 주도한 흐름은 단연 모노크롬이었다.80년대 접어들면서'서구 미니멀리즘의 모방'또는'몰개성'이라는 비판 속에 급속하게 퇴조했

    중앙일보

    1997.06.18 00:00

  • 54. 모노크롬 - 미니멀리즘과 모노파 (2)

    백색 모노크롬 회화는 최근들어 서구의 형식을 빌려 한국의 정신성을 담았다는 새로운 평가를 받고 있다.하지만 모노크롬이 화단의 중심세력이던 70년대 국제적으로 큰 유행이었던 미니멀리

    중앙일보

    1997.06.18 00:00

  • 한국추상미술 의미.한계 찾아-교수.평론가.작가 심포지엄

    호암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 추상미술의 정신」전은 전시제목부터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작품 하나하나의 질적 수준은 모두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과연 이 작품들에 작가들의 독자적인

    중앙일보

    1996.06.02 00:00

  • 호암갤러리 '한국 추상미술 정신'展

    「추상미술은 정말 어려운가」.호암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추상미술의 정신」전(6월30일까지)을 공부하듯이 보면 일반인들도 추상미술의 재미에 입문할 수 있다.이 전시는 한국추상미

    중앙일보

    1996.05.19 00:00

  • 한국적 추상미술의 "현주소"-에콜드 서울展

    전시형식을 빌려 강력한 현대미술운동을 전개했던 『에콜 드 서울』전이 20주년을 맞아 6일부터 19일까지 관훈갤러리((733)6469)에서 기념전을 갖는다. 올 출품작가는 이 전시를

    중앙일보

    1995.09.05 00:00

  • 박수근의 작품세계-鄭秉寬(미술평론가)

    中央日報 창간 30주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갤러리현대에서 열린박수근30주기 기념전이 유료관람객 3만여명을 동원하고 지난달 30일 막을 내렸다.가족과 이웃을 사랑하는 소박한 마음씨를

    중앙일보

    1995.07.04 00:00

  • 韓紙 드로잉서 설치미술까지 환기미술관 8人 작품展

    전통적 재료를 현대로 끌어냈을 때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의접목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젊은 작가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미술의 검증과 모색이란 연속테마전을 펼치고 있는 환기(

    중앙일보

    1995.02.28 00:00

  • 중진 감독들 영화제작 ″활기〃

    중진급 영화감독들의 작품활동이 활발해졌다. 「영화공장 서울」「청기사그룹」「새빛영화제작소」등 젊은 그룹들의 탈 충무로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중진들이 잇따라 메가폰을 다시 잡고 있다.

    중앙일보

    1990.01.24 00:00

  • 사신과 맞선 「하린두 개인전」

    암하면 사람들은 대개 치유를 기약할 수 없는 치명의 병으로 이해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본인이 병명을 모른 채 죽어가게 하는 것이야말로 암환자를 간병하는 가족들의 의무이자 도리라고

    중앙일보

    1989.04.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