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정력제로 인식, 연 2500만 개 팔려 … ‘강한 남자’ 강박증의 그늘

    정력제로 인식, 연 2500만 개 팔려 … ‘강한 남자’ 강박증의 그늘

    시알리스 20㎎지난달 4일 국내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에서 혈투가 시작됐다. 압도적인 선두 주자인 시알리스(한국릴리)의 특허가 만료되자 60개 제약사가 157종의 복제약(제네릭)을 쏟

    중앙일보

    2015.10.03 01:50

  • 데이트폭력의 심리

    데이트폭력의 심리

    일러스트 강일구 “내가 얼마나 노력했는데 어떻게 저럴 수 있어요?” 이성을 사귀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는 남성의 하소연이다. 호남 형에 훤칠한 키, 서글서글한 말투의 전문직 종사자

    중앙선데이

    2015.09.26 01:06

  • 심리적 정상과 비정상

    심리적 정상과 비정상

    일러스트 강일구 “불안해서 힘들어요.”진료실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다. 그 다음은 “우울해요”이다. 그렇다면 정말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불안하고 우울한 것일까. 친구들에게 “

    중앙선데이

    2015.09.13 02:12

  • 이런 대화 상대는 사절

    이런 대화 상대는 사절

    일러스트 강일구 정신과 의사를 오래하면서 별별 사람을 다 만나봤다. 말이 전혀 안 통하는 사람, 횡설수설하는 사람, 우울의 세계에 깊이 빠진 사람까지. 그러다 보니 타인과의 대화

    중앙선데이

    2015.08.23 03:03

  • [책꽂이] 야스쿠니 군국주의의 망령 外

    [책꽂이] 야스쿠니 군국주의의 망령 外

    문학·예술 ● 야스쿠니 군국주의의 망령(권철 글·사진, 컬처북스, 136쪽, 1만5000원)=일본과 한국에서 활동 중인 다큐멘터리 전문 사진작가인 저자가 야스쿠니 신사의 다양한 모

    중앙일보

    2015.08.08 00:16

  • [이 한마디] “1분 안에 답이 나오지 않는 고민은 하지 마라.”

    “1분 안에 답이 나오지 않는 고민은 하지 마라.” 정신과 전문의 하지현의 신작 『그렇다면 정상입니다』(푸른숲)에서 정신과 전문의 하지현 건국대 교수가 "이런 일로 병원에서 만나지

    중앙일보

    2015.08.05 08:43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바쁜 게 부러운 시대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바쁜 게 부러운 시대

    “많이 바쁘시죠?”몇 년 사이 가장 많이 들은 인사말이다. 이 말을 들으면 뭐라 답할지 난감하다. 내가 바빠 보이는 건 사실이니까. 대학교수라 강의하고 논문 쓰고, 의사라 진료를

    중앙선데이

    2015.08.02 02:01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가난과 마음의 빈곤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가난과 마음의 빈곤

    몇 달 전 월세를 독촉하는 집주인의 집에 불을 지른 50대 세입자가 있었다. 보증금 100만 원에 월 25만 원짜리 방에 세 들어 살면서 보증금을 다 까먹고도 3개월 치 월세를

    중앙선데이

    2015.07.12 01:28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가난과 마음의 빈곤

    몇 달 전 월세를 독촉하는 집주인의 집에 불을 지른 50대 세입자가 있었다. 보증금 100만 원에 월 25만 원짜리 방에 세 들어 살면서 보증금을 다 까먹고도 3개월 치 월세를 밀

    중앙일보

    2015.07.11 14:36

  • 바람은 변화 바라는 긍정 에너지 … 무력감 되지 않게 정책 반영해야

    빅데이터 분석 결과 대형 사건·사고가 발생했을 때 한국인의 마음에는 ‘바람’과 ‘수치심’의 감정이 공존하고 있었다. 이질적인 두 정서가 공존하는 이유는 뭘까. “대형 사건·사고에

    중앙일보

    2015.06.23 00:38

  • [전문가 진단] 뇌에 각인된 원시의 공포가 메르스 불안감 키워

    [전문가 진단] 뇌에 각인된 원시의 공포가 메르스 불안감 키워

    관련기사 메르스 진정되나 … 어제 16일 만에 ‘확진 0’ 전문가들 “수퍼전파자 더 없으면 늦어도 8월 초 종식” “집·자녀 학교 공개 전, 양해 구했으면 흔쾌히 응했을텐데 …”

    중앙선데이

    2015.06.21 00:18

  • [기획]다 같이 돌자 예술영화관 한 바퀴

    [기획]다 같이 돌자 예술영화관 한 바퀴

    [매거진M]다 같이 돌자 예술영화관 한 바퀴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는 서른 곳의 독립예술영화관이 있다. 다양한 작가주의 영화를 상영하는 곳이다. 멀티플렉스 내에 자리한 전용관부터

    중앙일보

    2015.06.11 15:07

  • [독자 옴부즈맨 코너] ‘총리 후보자 성향’ 학술적 분석 기사 신선

    [독자 옴부즈맨 코너] ‘총리 후보자 성향’ 학술적 분석 기사 신선

    5월 24일자 1면 ‘어휘로 본 황교안 후보자 성향 분석’이 우선 눈에 들어왔다. 이미 소개된 정보나 하마평을 정리한 기사가 아니라 학문에 기반을 둔 분석결과를 전면에 배치한 것

    중앙선데이

    2015.05.31 02:40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청춘의 자기애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청춘의 자기애

    “제가 아직 준비가 덜 됐어요. 기다려 주세요.”20대 중반의 젊은이가 말한다. 좋은 대학을 나와 취업 준비를 해왔지만 결과는 좋지 않다. 나이 든 부모는 자식이 빨리 아무데더라

    중앙선데이

    2015.05.24 01:33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청춘의 자기애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청춘의 자기애

    “제가 아직 준비가 덜 됐어요. 기다려 주세요.” 20대 중반의 젊은이가 말한다. 좋은 대학을 나와 취업 준비를 해왔지만 결과는 좋지 않다. 나이 든 부모는 자식이 빨리 사회생활을

    중앙일보

    2015.05.23 11:38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욕망의 브레이크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욕망의 브레이크

    “한동안 귤이 안 나온데. 다른 것 먹자.”“왜?”식구들이 귤을 좋아해서 늘 빼놓지 않고 사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아이들은 귤이 나오지 않는 철이 있다는 걸 이상히 여긴다. 한국

    중앙선데이

    2015.05.10 01:27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욕망의 브레이크

    “한동안 귤이 안 나온데. 다른 것 먹자.” “왜?” 식구들이 귤을 좋아해서 늘 빼놓지 않고 사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아이들은 귤이 나오지 않는 철이 있다는 걸 이상히 여긴다. 한

    중앙일보

    2015.05.09 13:49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10대와의 대화법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10대와의 대화법

    “요새 학교 다니는 것 어떠니?”“몰라.”“뭘 몰라?”“모르겠으니까. 그냥 짜증 나. 몰라.”얼굴 보기 힘든 10대 딸과 대화를 해 보려고 일요일 아침 아빠가 말을 붙여본다. 그

    중앙선데이

    2015.04.26 01:25

  • 장수 욕심, 남자들이 더 많다

    장수 욕심, 남자들이 더 많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오래 살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24일 발표한 ‘2015년 국민건강 인식조사’에 따르면 남성은 평균 85.3세까지, 여성은 평균 82

    중앙일보

    2015.04.25 01:03

  • 국민 마음상처 치유는 원인 규명부터

    본지는 전문가 10명에게 세월호 사고로 상처받은 국민의 마음을 어떻게 치유해야 할지를 물었다. 전문가들은 “심리적 공감도 중요하지만 사고 원인을 밝히고 재발방지책을 세우는 ‘원인

    중앙일보

    2015.04.13 00:55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떠나보내기의 어려움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떠나보내기의 어려움

    소설가 김훈 원작으로 임권택 감독이 연출한 영화 ‘화장’을 봤다. 영화 속 오 상무의 아내는 암이 여러 번 재발해 더 손쓸 도리가 없는 상태다. 그럼에도 그는 괴로운 내색 없이

    중앙선데이

    2015.04.12 01:52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떠나보내기의 어려움

    소설가 김훈 원작으로 임권택 감독이 연출한 영화 ‘화장’을 봤다. 영화에서 오 상무는 아내가 암에 걸려 여러 번 재발과 수술을 반복해 더 손쓸 도리가 없는 상태다. 그럼에도 그는

    중앙일보

    2015.04.11 12:48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밥과 친구가 있는 학교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밥과 친구가 있는 학교

    지방대학 교수였던 어머니는 서울에서 학교 다니는 아들이 먹을 일주일 치 도시락을 미리 챙겨주는 게 큰일이었다. 내가 고등학교 다닐 때는 같은 반찬을 담은 일주일치 도시락으로 냉장

    중앙선데이

    2015.03.29 03:27

  •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밥과 친구가 있는 학교

    [하지현의 마음과 세상] 밥과 친구가 있는 학교

    지방대학 교수였던 어머니에게 내가 먹을 1주일 치 도시락을 미리 챙겨주시는 것이 큰일이었다. 고등학교 때는 야간 자율학습까지 하니 두 배가 필요해, 같은 반찬을 담은 도시락들로 냉

    중앙일보

    2015.03.28 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