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갈릴레오 단죄에 충격, 과학 버리고 철학 선택

    갈릴레오 단죄에 충격, 과학 버리고 철학 선택

    네덜란드 화가 프란스 할스(1581/85~1666)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데카르트의 초상화(프랑스 파리 루브르박물관 소장). 학교를 졸업한 지 오래돼 수학 시간에 배운 것들이 가물

    중앙선데이

    2012.07.08 00:23

  • 작가들의 작가 보르헤스,그곳에 가면 만날 수 있을까

    작가들의 작가 보르헤스,그곳에 가면 만날 수 있을까

    “1973년 겨울 어느 날 보르헤스가 도서관장으로 일하던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도서관을 찾아갔다. 흰 와이셔츠를 입은 우아한 모습으로 그가 도서관의 돔 지붕 아래서 나를 기다렸다.

    중앙선데이

    2012.06.23 22:29

  • 자유민주주의가 우리 근·현대사 진실 표현에 더 정확

    자유민주주의가 우리 근·현대사 진실 표현에 더 정확

    한국사 교과서 개정과정에 민주주의와 자유민주주의의 개념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성낙인 서울대 교수(헌법학)는 “민주주의도 틀린 말은 아니지만 자유민주주의가 더 정확한 용어”라고

    중앙일보

    2011.09.22 00:17

  • [분수대] 캐비아 좌파

    [분수대] 캐비아 좌파

    프랑스의 철학자 베르나르 앙리 레비(Bernard-Henri Levy, BHL)는 『그럼에도 나는 좌파다』라는 책에서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과의 사적 인연을 소개했다. 2007년

    중앙일보

    2011.05.19 00:15

  • [사설] 서정주의 친일, 서정주의 시

    [사설] 서정주의 친일, 서정주의 시

    1945년 대한민국과 프랑스는 해방·광복(liberation)의 기쁨 속에 자유와 민주주의를 누리게 됐다. 프랑스의 ‘철저한 과거 청산’이 하나의 모범으로 종종 우리에게 제시됐다

    중앙선데이

    2009.11.15 03:26

  • 레비스트로스 ‘서구 우월주의’ 깨버린 서구의 반항아

    레비스트로스 ‘서구 우월주의’ 깨버린 서구의 반항아

    20세기 서구 지성사의 물줄기를 돌려놓은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세상을 떠났다. 2005년 제17회 국제카탈루냐상을 받은 직후의 레비스트로스 모습. 국제카탈루냐상은 스페인

    중앙일보

    2009.11.05 01:51

  • 민족 넘어 인류 共存同生 주창했다

    민족 넘어 인류 共存同生 주창했다

    독립선언문은 우리의 자존심과 주체성을 상징하는 핵심적 문서다. 독립선언문은 유려하고 장중한 문체로 우리 민족 독립의 역사적·원리적 당위성을 당당하게 천명했다. 우리는 독립선언문을

    중앙선데이

    2009.03.01 00:30

  • 21세기 중국문화지도 문학 2. 지도로 본 오늘의 중국 문학

    21세기 중국문화지도 문학 2. 지도로 본 오늘의 중국 문학

    중국은 세계에서 셋째로 큰 나라다. 덩치가 크다 보니 지역마다 개성도 또렷하다. 문학에서도 지역색이 읽힌다. 중국 지도에서 중국 문학의 오늘을 읽는 이유다. 중국 대륙을 문학적 특

    중앙일보

    2008.02.29 01:21

  • [행복한책읽기Review] 유럽의 지성들, 참 많이도 아파했네

    [행복한책읽기Review] 유럽의 지성들, 참 많이도 아파했네

    의식과 사회/ 막다른 길 / 지식인들의 망명 H. 스튜어트 휴즈 지음, 황문수·김병익·김창희 옮김 개마고원, 368~488쪽, 2만~2만5000원 책 좀 읽는다고 자부하는 독자라면

    중앙일보

    2007.06.08 18:42

  • 이병완 "우리 사회에 극우의 광기 흐르고 있다"

    이병완 대통령 비서실장이 뉴라이트 교과서 포럼과 관련해 "무섭고 두려운 현상이며 파쇼적 분위기가 넘실거린다"며 "그럼에도 일부 신문의 전매특허인 사상검증은 어디로 갔나. 이성이 있

    중앙일보

    2006.12.11 16:10

  •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생명과학과 선(禪)(우희종 지음, 미토스, 240쪽, 9800원)=서울대 수의대 면역학 교수로 있는 저자가 풀어놓은 삶과 생명, 그리고 생명공학에 대한 포괄적인 성찰

    중앙일보

    2006.01.13 21:13

  • [변화 선언한 한겨레 어디로 가나] 외국의 진보지 모델은

    최근 한겨레신문 사장 선거에서 맞붙은 정태기 당선자와 양상우 노조위원장 모두 흑자 경영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변화와 개혁은 기본.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한국 신문시장 전체의

    중앙일보

    2005.02.23 15:53

  • [Book/깊이읽기] 지식인의 죄와 벌

    [Book/깊이읽기] 지식인의 죄와 벌

    지식인의 죄와 벌 원제:Epuration des Intellectuels 피에르 아술린 지음, 이기언 옮김 두레, 256쪽, 1만2800원 ▶ 모리악 "국민통합 위해 신의 자비 베

    중앙일보

    2005.01.28 17:28

  • [책꽂이] 커피와 함께 책을 外

    거실 탁자나 소파 위에 두고 짬짬이 들여다보는 책을 흔히 ‘커피 테이블 북’이라고 합니다. 보통 크고 고급스러운 장식에 화려한 사진과 삽화가 들어가 책 가격도 만만찮습니다. 디지털

    중앙일보

    2004.10.30 09:26

  • [인문·지성] 북침설 지지한 佛 좌파의 오류

    사르트르·메를로 퐁티·레이몽 아롱 등 20세기 중반 프랑스 문학·철학계를 빛낸 별들이 한국전쟁의 시원과 성격을 놓고 이념 논쟁을 벌였다. 『프랑스 지식인들과 한국전쟁』은 정명환·변

    중앙일보

    2004.04.10 15:24

  • [인문·지성] 북침설 지지한 佛 좌파의 오류

    사르트르·메를로 퐁티·레이몽 아롱 등 20세기 중반 프랑스 문학·철학계를 빛낸 별들이 한국전쟁의 시원과 성격을 놓고 이념 논쟁을 벌였다. 『프랑스 지식인들과 한국전쟁』은 정명환·변

    중앙일보

    2004.04.10 15:24

  • [분수대] 앙가주망(Engagement)

    "드레퓌스가 결백함을 주장합니다. 작가 생활 40년과 필생의 작업으로 얻은 모든 것을 걸고 그의 결백을 선언합니다. …군사법정을 고발합니다. 증거를 비밀로 가린 채 유죄판결을 내려

    중앙일보

    2003.12.30 18:11

  • "한국서 전세계 '철학의 향연'을"

    "한국서 전세계 '철학의 향연'을"

    최고 지식의 향연인 세계 철학자대회 2008년 행사를 서울에 유치하기 위해 한국 철학계가 발벗고 나섰다. 20세기 초에 시작된 이 대회는 각국을 대표하는 철학회와 분야별.지역별 연

    중앙일보

    2003.07.31 18:46

  • [책과 세상] 천재, 그 만들어진 허상

    명사들의 단골 추천서로 오르내리는 로망 롤랑의 명저 '베토벤의 생애'는 이렇게 인상 깊은 구절로 시작한다. "창문을 열어젖히자. 신선한 대기가 흘러들게 하자. 영웅의 숨결을 들이마

    중앙일보

    2003.02.21 17:04

  • 유럽을 아름답게 만든 사람들

    유럽인물열전 1,2/ 김현종 지음/ 마음산책/ 각 권 1만2천원 '사람'이라는 화두를 통해 유럽 문화의 핵심을 보여주는 책. 기자출신의 저자는 "내일의 한국을 알기 위해선 오늘의

    중앙일보

    2002.04.06 00:00

  • "세계인1호" 머테오 리치 東西 문명 이해 빗장을 열다

    마테오 리치(1552~1610)가 동쪽으로 온 까닭은? 중국에 들어 온 최초의 서양 기독교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 신부의 삶이 진정한 동서 문명 교류를 염원하는 시대적 열망을 탄

    중앙일보

    2002.03.30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해방철학'의 사도 엔리케 두셀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서구 근대철학에서 유아론적 전통의 뿌리를 이루는 데카르트의 금언이다. 이 생각하는 자아(ego cogito)가 권력의지를 담지한 주체로 형성된 것은

    중앙일보

    2001.08.16 00:00

  • [탈식민주의론을 둘러싼 논쟁]

    동양 출신으로 서구 지성계를 압도한 탈(脫)식민주의론자 중 흔히 '삼총사' 로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오리엔탈리즘』(1978년)의 저자 에드워드 사이드(본지 1월 18일자 13면

    중앙일보

    2001.05.31 00:00

  • 다국적 잡지 '흔적' 출간

    국내 첫 '다언어 문화이론 저널' 인 『흔적』(문화과학사)이 최근 출간됐다. 여기에서 다언어(多言語)라 함은 이 잡지의 필자들의 국적과 그들이 글을 쓰는 언어가 다양하다는 뜻. 물

    중앙일보

    2001.02.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