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유중하교수의인문올림픽] (2) 중국 문화의 양대 코드‘불 & 물’

    [유중하교수의인문올림픽] (2) 중국 문화의 양대 코드‘불 & 물’

     중국의 음식문화를 의식주 가운데 한 분야 정도로 대접한다면 그것은 패착이다. 식(食), 먹성이야말로 중국인의 오랜 사고 체계의 근저를 이루는, 필설로 설명하기 힘든 그 무엇이기

    중앙일보

    2008.08.01 02:45

  • 민족종교가 ‘2% 종교’라고?

    2000년 세밑이었다. 가수 조영남이 펴낸 따끈한 신간 ‘예수의 샅바를 잡다’(나무와 숲)를 읽다가 “옳다구나!” 싶었다. 흔한 신학 에세이와는 달랐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200

    중앙일보

    2007.11.03 12:52

  • 족집게 역술 예언가 10인 丁亥年 國運 말한다

    족집게 역술 예언가 10인 丁亥年 國運 말한다

    ■ 누가 대통령 될 것인가? 이명박 우세 속 陰기운이 변수로 등장… 의외 인물 등장 가능성 낮아 ■ 경기 살아날까? 무늬만 ‘황금돼지 해’… 2007년 말 지나야 경제는 겨우 숨

    중앙일보

    2007.01.02 10:49

  • [분수대] 소신

    [분수대] 소신

    조선 초 명신 어효첨은 풍속을 바로잡고 기강을 세우는 데 추상같은 관리였다. 믿음을 실천하는 데 한 치의 틈도 없었다. 집현전 교리로 있을 때 풍수상 북쪽 길을 막고 성 안에 산

    중앙일보

    2006.06.25 20:47

  • [전시회산책] 전통 풍수와 미술의 만남 外

    [전시회산책] 전통 풍수와 미술의 만남 外

    전통 풍수와 미술의 만남 전통 풍수(風水)의 세계를 살피고 그 풍수가 현대 미술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를 모은 기획전 '풍수'가 2006년 1월 18일까지 서울 동선동 성신

    중앙일보

    2005.12.14 23:02

  • 대지는 캔버스가 되고 기차는 붓이 되어…

    대지는 캔버스가 되고 기차는 붓이 되어…

    ▶ 미국 대륙을 7박8일 동안 횡단하며 한민족을 상징하는 흰 선으로 드로잉을 할 설치미술작가 전수천씨의 ‘움직이는 선 드로잉 프로젝트’. 뉴욕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5500㎞를 달린

    중앙일보

    2005.08.19 20:48

  • [김형경의 책 vs 책] 사주는 첨단과학이다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조용헌 지음, 푸른 역사, 390쪽, 1만5000원 사주 명리학 이야기 조용헌 지음, 생각의 나무, 358쪽, 1만5000원 토정비결의 계절이 돌아왔다

    중앙일보

    2004.12.18 09:41

  • [week& 클로즈 업] 아들은 조상신의 환생

    [week& 클로즈 업] 아들은 조상신의 환생

    한국 사람들은 명절이 닥치면 고향으로 돌아가는 습성이 있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자동차 행렬이 너무 길어서 고속도로.국도.지방도가 모두 막히는 일대 진풍경이 벌어진다. 다른 나라에

    중앙일보

    2004.01.29 16:40

  • 환경 사랑 '녹색대학' 문 열기도 전 인기몰이

    올 수능 지원자가 대학 정원을 밑돌면서 지방 대학 등이 신입생 유치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광고 한번 내지 않고도 인기를 끌고 있는 대학이 있다. 시인 김지하·박노해씨, 홍순명 전

    중앙일보

    2002.10.02 00:00

  • [강위석 칼럼] 진짜 멸만경(滅蠻經)

    『멸만경(滅蠻經)』은 중국 사람들이 조선을 포함하는 주변 민족에서 훌륭한 인물이 나오는 것을 막으려고 명당 자리는 나쁜 것으로, 나쁜 자리는 명당으로 살짝씩 고쳐서 흘려 건네주었다

    중앙일보

    2001.10.11 00:00

  • [와이드 책꽂이] '명장 한니발 이야기' 外

    ◇ 명장 한니발 이야기(파트리크 지라르 지음, 전미연 옮김, 한길사, 전3권, 각권8천원) BC 3세기에서 BC 2세기께 지중해의 패권을 놓고 벌어진 이른바 포에니 전쟁에서 거대

    중앙일보

    2001.08.04 08:17

  • [와이드 책꽂이] '명장 한니발 이야기' 外

    ◇ 명장 한니발 이야기(파트리크 지라르 지음, 전미연 옮김, 한길사, 전3권, 각권8천원)〓BC 3세기에서 BC 2세기께 지중해의 패권을 놓고 벌어진 이른바 포에니 전쟁에서 거대

    중앙일보

    2001.08.04 00:00

  • [즐거운 책읽기] 세계가 들어있다

    한참 위 선배 한 분은 제주도에 조차 가보지 않으셨습니다. 그런데도 파리나 뉴욕의 뒷골목까지 꿰뚫고 계시지요, 책을 통해서요. 단순히 걸어다니는 백과사전이 아니라 세상에 대한 통찰

    중앙일보

    2001.07.19 15:26

  • 춘아,춘아,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갔니?

    신간 제목 『춘아, 춘아…』는 무가(巫歌) 의 한 대목이다. 반복되는 가락이 절묘하게 풀려가는 다음 대목을 마저 읊어볼 일이다. "우리 아버지 배를 타고 한강수에 놀러갔다. /봄이

    중앙일보

    2001.06.16 10:45

  • 지성 26명의 시대적 슬픔 노래한 신간 '춘아 춘아…'

    신간 제목 『춘아, 춘아…』는 무가(巫歌)의 한 대목이다. 반복되는 가락이 절묘하게 풀려가는 다음 대목을 마저 읊어볼 일이다. "우리 아버지 배를 타고 한강수에 놀러갔다. /봄이

    중앙일보

    2001.06.16 00:00

  • 서양 脫근대적 사유 동북아의 道와 상통

    탈(脫)강의실,탈근대주의를 모색하는 거리의 철학자 이정우(철학아카데미 원장·42).신간은 이씨가 서강대 교수직을 그만두고 만든 재야 교육기관인 ‘철학아카데미’에서의 첫 대중강의록이

    중앙일보

    2001.03.17 15:44

  • [신간 리뷰] '주름, 갈래, 울림'

    탈(脫)강의실,탈근대주의를 모색하는 거리의 철학자 이정우(철학아카데미 원장 ·42). 신간은 이씨가 서강대 교수직을 그만두고 만든 재야 교육기관인 '철학아카데미' 에서의 첫 대중강

    중앙일보

    2001.03.17 00:00

  • [삶과 문화] 한강에 문화의 다리를

    서울은 자연의 질서와 인간의 질서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의 도시였다. 오늘의 서울은 천혜의 자연에 세워진 도시이면서 자연이 차단된 과다한 인공의 도시다. 서울은 1천만 인구가 서

    중앙일보

    2000.10.28 00:00

  • 풍수지리학자 최창조씨-미술사학자 유홍준씨

    '역마살' 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두 사람. 이나라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땅냄새를 맡고 땅의 생김새를 어루만지고 그 땅위에서 반만년의 역사를 일구어온 선조들의 숨결을 느껴온 두

    중앙일보

    1997.07.19 00:00

  • 토정선생 묘역 앞바다 매립 - 종증.한전 매립후 공원묘역화 합의

    12일 대전시청 대회의실.국민고충처리위원회(위원장 姜原一)가 개최한'고충민원 충청지역심의회'에서는'토정비결'의 저자로 알려진 토정 이지함(李之함)선생의 묘역 앞바다 매립문제를 놓고

    중앙일보

    1997.06.15 00:00

  • 문학 ◇지상의 시간(정도상.한뜻.6천5백원)=80년대 젊은이의 사랑과 좌절을 다룬 소설. ◇영문학에 대한 반성(송무.민음사.1만5천원)=영문학의 역사와 정격 영문학에 관한 논술.

    중앙일보

    1997.06.13 00:00

  • ◇골드(아이작 아시모프 지음)=20세기 최고의 SF소설 작가로 칭송받는 작가의 유고 단편소설 15편을 묶음. ◇엄마한테는 엄마 인생이 있는거야(틸드 바르보니 지음)=날로 심각해지는

    중앙일보

    1996.10.19 00:00

  • 9.북한산의 사랑

    북한산에 오르면 백두대간이 달려오는 소리가 들립니다.그 발자국 소리에 귀기울이고 있노라면 600년전의 한양(漢陽)이 눈앞에 펼쳐집니다.이것이 내가 북한산에 오르는 이유입니다.백두산

    중앙일보

    1996.01.09 00:00

  • 上.거대한 '정신문명' 쇼

    60년대 이후 미국에서 일기 시작한 뉴 에이지운동이 미국을 휩쓸고 있다. 첨단과학의 발전을 비웃기나 하듯 이 운동은 동양적.자연주의적삶과 사고방식을 하나의 이념으로 제시하고 있다.

    중앙일보

    1995.11.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