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의 20세기 과학인물] 3. 자연과학 이태규 박사

    고(故) 이태규(李泰圭·1902∼92) 박사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노벨상과 깊은 인연을 맺은 학자다.한국인 최초의 노벨상 추천위원(65년) 에 오른 데다 그 자신이 역시 한국인으

    중앙일보

    1999.12.19 21:11

  • [기획취재] 대학실험실 실적에 집착 안전 눈감아

    대학 실험실 안전문제는 소속원들의 '안전불감증' 과 같은 개인적 차원에만 맡겨둘 수 없는 제도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 전담인력.부서가 없다〓대부분의 대학은 시설관리과

    중앙일보

    1999.11.04 00:00

  • [기획취재] 외국 대학선 어떻게 하나

    실험실 안전은 안전센터와 최소 수십명에 이르는 안전요원을 중심으로 지켜진다. 전담요원은 수시로 실험실을 돌며 기본사항을 체크한다. 전기배선이 낡아 합선위험은 없는지, 높은 곳에 불

    중앙일보

    1999.11.04 00:00

  • 부산대 '지로', 전국지능로봇대회 대상 차지

    경북도와 포항공대가 국내 최초로 마련한 전국 지능로봇대회에서 부산대 의 '지로(ZIRO)' 가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지로는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 사방 6미터의 공간내에

    중앙일보

    1999.10.30 00:00

  • 전국지능로봇대상에 부산대'지로'

    경북도와 포항공대가 국내 최초로 마련한 전국 지능로봇대회에서 부산대 의 '지로 (ZIRO) ' 가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지로는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 사방 6미터의 공간

    중앙일보

    1999.10.29 14:49

  • 전국지능로봇대상에 부산대'지로'

    경북도와 포항공대가 국내 최초로 마련한 전국 지능로봇대회에서 부산대 의 '지로 (ZIRO)' 가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지로는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 사방 6미터의 공간내

    중앙일보

    1999.10.29 14:47

  • 지능로봇 대상에 부산대 '지로'

    경북도와 포항공대가 국내 최초로 마련한 전국 지능로봇대회에서 부산대 의 ''지로 (ZIRO)'' 가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지로는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 사방 6미터의 공

    중앙일보

    1999.10.29 13:35

  • [99전국대학평가-기자방담] 실사 통해 공정평가 최선

    ▶해마다 대학평가가 끝나면 문의전화 등이 쇄도했는데 올해는 대학과 독자들의 반응이 어떤가요. ▶문의내용이 점점 구체적.적극적으로 변했습니다. 특히 "장기발전 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

    중앙일보

    1999.10.06 00:00

  • [99전국대학평가 기자방담] 실사통해 공정평가 최선

    '수요자에게 대학정보를 제공하고 대학간 건전한 경쟁을 통해 대학발전에 이바지하자'는 취지로 시작된 중앙일보 대학평가가 올해 6회 째를 맞아 8차례에 걸쳐 보도됐다. 올해는 보도 시

    중앙일보

    1999.10.05 20:22

  • [중앙시평]북핵개발과 과학기술

    올해 들어 북한의 핵개발 의혹과 미사일 개발을 둘러싸고 미국과 일본에서 한반도 위기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금창리 지하 시설에 플루토늄 생산 및 재처리 시설이 수용될 가능성이

    중앙일보

    1999.02.09 00:00

  • 서울대 장회익 교수지은 '삶과 온생명'

    "사실 어느 면에서는 물리학도 일종의 점 (占) 이다. 단지 좀더 신뢰할 만한 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서울대 물리학과 장회익 (60) 교수의 발언이다. 물리학도 본질적으로 미

    중앙일보

    1998.08.27 00:00

  • 인간 생명연구 '일등 공신' 쥐

    유전자 조작기술의 눈부신 발달에 빼놓을 수 없는 일등공신이 있다. 바로 생쥐다. 요 조그만 쥐가 없었다면 생명공학이 지금처럼 눈부시게 발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한 예로 건국대 축

    중앙일보

    1998.07.06 00:00

  • 대덕단지 로봇축구 붐

    요즘 대덕연구단지내 한국과학기술원 (원장 尹德龍) 정보전자공학동 실험실은 한국의 마이크로로봇축구를 배우려는 국내외 대학생들의 열기로 뜨겁다. 이곳에서는 한국 마이크로로봇축구를 세계

    중앙일보

    1998.02.12 00:00

  • [대학평가]7.기계계열학과…KAIST·서울·포항공대순

    기계계열학과 (학부 포함) 평가에서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위는 서울대, 3위는 포항공대가 각각 차지했다. KAIST는 전문가 대상 평

    중앙일보

    1997.10.03 00:00

  • 대덕연구단지 열린음악회 성황 - 과학의 달 이모저모

    과학의 달을 맞아 제1회 대한민국 과학축전을 비롯,각 과학기술 관련기관.단체들이 다채로운 과학행사를 벌여 눈길을 끌고 있다. …대한민국 과학축전이 펼쳐진 지난 18일 서울여의도 한

    중앙일보

    1997.04.22 00:00

  • 대구.경북지역 대학 이번 학기부터 상호 학점인정제 시행

    경북대 자연과학 대학원에 재학중인 임종인(28.센서공학과 2년)씨는 요즈음 포항공대 대학원 기계과의 「유한요소법개론」이라는 강의를 듣기 위해 1주일에 한번씩 포항으로 등교한다. 이

    중앙일보

    1996.09.13 00:00

  • 우수 지방私立전문대 정원 자율화

    연암축산원예전문대를 비롯해 교육여건이 우수한 연암공업.울산. 양산.거제.신일전문대등 6개 지방 사립전문대가 97학년도 입시에서 모집정원을 자율적으로 정할수 있게 됐다.교육부는 11

    중앙일보

    1996.08.12 00:00

  • 7.물리학과 평가

    전국 75개 대학(졸업생 미배출 4개 대학 제외)과 4개 지방캠퍼스의 물리학과 평가 결과 세칭 명문대들이 교육용 설비등 교육여건면에서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반면 일부 非명

    중앙일보

    1995.10.05 00:00

  • 시설및 도서관 분석

    사립대가 대학 나름의 발전계획을 세우고 과감한 투자와 시설확충등 개선노력을 아끼지 않아 상위권으로 발돋움하기 시작한 반면대부분의 국립대는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포항공대가 대

    중앙일보

    1995.09.28 00:00

  • 7.노보시비르스크

    시베리아를 대표하는 문화도시는 이르쿠츠크.12월 당원들이 반란에 실패한 후 이곳과 치타로 유배돼 황무한 시베리아를 계몽하면서 문화의 싹을 틔우게 된 것.그런가 하면 노보시비르스크는

    중앙일보

    1995.06.16 00:00

  • 포항산업기술硏 촉매 실험실

    경북 포항시 효자동 포항산업과학기술연구소(이하 산기연) 연구1동 3층에 자리잡은 1백평 정도의 촉매실험실.밤 늦도록 불이꺼질 줄 모른 채 어느덧 희뿌옇게 밝아오는 새벽을 맞고 있다

    중앙일보

    1995.04.03 00:00

  • 13.연구소 虛와 實

    서울대 관악캠퍼스 2동에 있는 독일학 연구소는 이곳이 연구소라는 느낌을 전혀 주지 않는다.출입문엔 「대학원생 연구실」이라고 쓰여진 조그만 아크릴판이 붙어있을 뿐,연구소 명패는 어디

    중앙일보

    1995.03.02 00:00

  • 5.빈약한 실험.연구시설

    서울대 자연대는 93년12월 『우리는 21세기를 준비하고 있는가』란 제목의 백서를 펴내 그동안 차마 드러내놓기를 꺼리던 교육.연구 여건의 열악상을 생생히 드러내 충격을 주었다. 자

    중앙일보

    1995.02.01 00:00

  • 지방大 특성화 바람 거세다

    본격적인 지방화시대 개막과 함께 지방대학에 개혁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교육시장이 개방돼 외국의 유수대학들이 국내에 들어오면 중.하위권이 대부분인 지방대학들의 타격이 가장 클 것

    중앙일보

    1995.01.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