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행복기행-부부끼리 연인끼리 DTV(34)

    어디론가 떠나는 것은 즐거운 일.더구나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떠나는 여행이라면 그 기쁨과 설렘은 몇배로 늘어난다. 매주 시청자중 한 커플을 선정,함께 여행했던 곳중 가장 기억에 남는

    중앙일보

    1995.07.21 00:00

  • 6.麟蹄 삼재령

    한반도는 그 등뼈와 핏줄이 견고하기 때문에 반만년동안 문명의요람으로 활발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보는 전문가의 견해가 있다. 백두산에서 출발해 이북의 함경도 두류산-평안도

    중앙일보

    1994.08.20 00:00

  • 울릉도 道洞.苧洞

    동해의 외로운 섬 울릉도가 우리 앞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지 1백년이 지났다.역사책에 나오는 신라 장군 異斯夫가 于山國을 점령했다는 기록이후 사실상 빈섬으로 남겨두었다.그러다가 고종

    중앙일보

    1994.08.01 00:00

  • 春陽木이 되살아난다-천연보호林 솔잎혹파리로 중병신음

    솔잎혹파리 피해로 고사위기에 놓여 있던 천연보호림 春陽木(일명 春陽소나무)숲이 되살아나고 있다. 태백산을 중심으로 경북봉화.울진과 강원도태백.삼척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며 예부터 풍

    중앙일보

    1994.07.31 00:00

  • 경복궁 복원 중책 맡아 "혼신의 힘"|"목수생활 34년" 도편수 인간문화재 신응수씨

    10개년 계획으로 진행중인 경복궁 복원사업의 중책을 맡은 한국최고의 목수 신응수씨(51). 목수생활 34년에 달인의 솜씨에 이르러 지난 5월 인간문화재(74호·대목장)가 되기도 한

    중앙일보

    1991.07.26 00:00

  • 볼만한 프로TV

    □…K B S제 1 T V 『특별생방송』(3일 아침 7시40분)=「민족의 영산」. 민족의 정기와 전통성을 찾아보는 기획프로. 강화도 마니산과 태백산 정상에서 제천의식을 지내는 현장

    중앙일보

    1984.10.02 00:00

  • 곰얘기

    곰의 학명은 「우르수스」란 라틴어다. 고대로마의 문학작품이나 역사를 보면 「우르수스」라는 인명이 적지않다. 곰은 그만큼 숭앙의 대상이었던 것 같다. 바로 우리 민족신화에서도 곰은

    중앙일보

    1983.05.24 00:00

  • 자연건강식품|농약 안 쓴 쌀-야채-과일 등 예약지렁이-개구리-뱀까지 씨 말려

    『녹즙을 마시자. 태양을 마시자』-.서울 여의도 백조아파트 B동에서 케일즙 보급운동을 펴고있는「불로초 보급회」가 내건 슬로건이다. 회장 김종관씨(55·서울민사지법 집달관)는 20년

    중앙일보

    1983.01.26 00:00

  • (5)강원도 영월 어라연 계곡

    강원도 영월 땅은 태백산 줄기의 산과 물이 흘러내리는 온통 신비 속의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단종의 애절한 사연이 깃 든 곳이다. 여름 내내 머무르고 싶은 곳, 그 중에서도 「동강의

    중앙일보

    1981.07.27 00:00

  • (56)영약 산삼을 집 마당서 키운다-삼척군 여삼리 산삼마을

    영생의 보약, 기사회생의 신약, 불로 회춘의 비약으로 일컫는 약중지 대왕 산삼. 심마니들은 목욕재계하고 치성을 들여 현몽을 얻어야 한 뿌리가 눈에 들어온다는 비초 를 집 마당 삼포

    중앙일보

    1981.06.05 00:00

  • (43)젖줄 천삼백리…낙동강의 기원|삼척군 황지읍 황지못

    한 가닥이 일어나 만 가닥으로 퍼지는 것이 산이요, 만 굽이가 휘돌아 한줄기가 되는 것이 물이다. 산골마다 흐르는 억만 줄기 물은 아래로 아래로 달리며 한반도 남쪽 땅에 다섯 개의

    중앙일보

    1981.04.28 00:00

  • (7)태백 탄광지대|탄갱 속은 어두워도 보람은 밝다

    진한 초록빛을 뽐내며 새파란 동해와 나란히 달리던 태백산맥이 뚝 끊어지며 온통 검은 빛 투성이 인 곳- 태백탄전지대. 땅속으로 수천 길 칠흑 갱 속을 파고들어서는 높게 높게만 쌓아

    중앙일보

    1978.03.10 00:00

  • 남한강 상류의 물줄기가 동해 쪽으로 방향 바꾼다

    이제까지 서쪽으로만 흐르던 남한강 상류의 물줄기가 머지 않아 동해로 빠지게 됐다. 강원도 산골 태백산 줄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댐」으로 막아 괸 물을 다시 동해로 역류시키는 임계「

    중앙일보

    1975.12.09 00:00

  • 강원도|항만·도로건설

    강원도라는 지역사회는 한마디로 반도를 남북으로 꿰뚫고있는 태백준령에 의해 가름돼 왔다. 풍부한 지하·수산·관광자원과 전력의 공급원이지만 동시에 태백은 영서와의 격절을 불러 고립과

    중앙일보

    1975.01.28 00:00

  • 호소

    태백산 줄기의 봉우리만 바라보며 나날을 보내는 시골 소녀입니다. 가정 환경이 허락치 않아 상급 학교에 진학도 못하고 가사를 돕고 있습니다. 우리 마을에는 저와 같은 친구들이 여럿

    중앙일보

    1973.11.26 00:00

  • 무더위속 복사냉각 현상

    가뭄을 타고 닥친 무더위 속에 우리나라는 지난10일부터 복사냉각현상이 일어나 아침저녁은 비교적 흐리고 가을날씨처럼 서늘한 반면 한낮은 한여름다운 무더운 날씨를 보이고있다. 이같은

    중앙일보

    1973.06.12 00:00

  • (399)-(23)

    (2) 태백산맥은 산세가 험준한데다 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쳐있어 북으로는 금강산까지 산이 이어져 있다. 이 때문에 태백산줄기는 일찍부터 공산「게릴라」들의 침투로와 거점이 되어 6

    중앙일보

    1972.11.27 00:00

  • 무용가 육완순씨

    12일·13일 국립극장에서 제5회 무용발표회를 갖는 육완순 교수는 이대무용실에서 하루 7시간 이상의 맹연습을 하고있다. 『새벽 4시면 연습하러 학교에 나오곤 해요. 단군기원 등 다

    중앙일보

    1971.10.08 00:00

  • (214)남과 북의 포로수용소(6)

    한국전쟁 때 북한에는 벽동 화풍 천마 우시 외귀 만포진 삭주 북진 강동 황주 등 10개소에 포로수용소가 있었다. 물론 전쟁추세에 따라 수용소 규모가 달라지고 폐쇄, 혹은 신설된 것

    중앙일보

    1971.08.13 00:00

  • (172) - 국군의 북상(상)

    중동부 (다부동·안강·파계·포항전선) 에서 고전하던 한국군 각 사단도 대체로 9월 22일께부터 일제히 교두보를 박차고 배상의 길을 재촉했다. 북괴군 전선사령관 김책은 전선의 균형상

    중앙일보

    1971.05.07 00:00

  • (110)종교수난(3)|적치하의 3개월(23)|「6·25」20주…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적 치하에서 불교도 다른 종교 못지 않게 박해와 탄압을 받았다. 대부분의 절이 산중에 있기 때문에 6·25전에도 공산 게릴라에 의해 많은 피해를 보았는데 남침과 함께 그들은 이북에

    중앙일보

    1970.12.11 00:00

  • 전국명승 지상가이드|무르익은 관광시즌

    하늘은 높푸르고 소슬바람 이는10월 -.10월은「하이킹」,여행을 해보고 싶어지는 달이기도하다. 가족끼리, 정다운 이와, 그리고 각급학교졸업반들이 여행 「플랜」에 가슴을 부풀리는것이

    중앙일보

    1968.10.05 00:00

  • 백설송

    눈이 온다. 함박눈이 펑펑 쏟아진다. 이른 아침, 창문을 열 때의 그 감격은 형언할 수 없다. 어느 때 없이 조용한 아침. 시계를 의심하며 창변에 서면 {아, 눈이…}눈이 오는 것

    중앙일보

    1967.12.14 00:00

  • (2)울산시·울주군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태화강과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동천이 맞닿는 곳, 울산은 천연의 양항과 이수삼산의 평야로 행운의 공업 「센터」 건설지로 지정 받았으나 정유공장 하나만이 세워졌

    중앙일보

    1966.08.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