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아인슈타인의 치명적 실수...블랙홀 사진의 비밀

    아인슈타인의 치명적 실수...블랙홀 사진의 비밀

      지난달 13일, 인류 역사상 최초로 우리 은하에 있는 블랙홀 궁수자리 A*를 찍은 사진이 공개됐습니다. 암흑의 공간을 오렌지색 빛이 감싸고 있는 찬란한 모습이었습니다.   

    중앙일보

    2022.06.03 18:00

  • 13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제트현상' 퀘이사 발견

    13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제트현상' 퀘이사 발견

    지구에서 약 13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초대질량 블랙홀이 빛에 가까운 속도로 물질을 분출하는 '제트 현상'이 포착됐다.     퀘이사 'P172+18' 상상도 AFP=연합뉴스

    중앙일보

    2021.03.08 22:53

  • 자동차 회사 도요타는 스마트시티 건설

    자동차 회사 도요타는 스마트시티 건설

    일본 도요타가 6일 ‘CES 2020’에서 공개한 스마트시티 ‘우븐 시티’의 가상 모습. [사진 도요타] ① 3차선 도로 중 하나는 자율주행차 전용인 동네에 ② 탄소 배출을 줄이

    중앙일보

    2020.01.08 00:03

  • 도요타市, 구글市가 온다…CES가 말하는 스마트시티 미래

    도요타市, 구글市가 온다…CES가 말하는 스마트시티 미래

      ① 3차선 도로 중 하나는 자율주행차 전용인 동네에   ②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건물 대부분은 목재로 짓고   ③ 집주인의 건강 체크하는 로봇이 집안에 상주하며   ④ 수

    중앙일보

    2020.01.07 17:30

  • 태양보다 600조배 밝다···허블, 가장 눈부신 블랙홀 발견

    태양보다 600조배 밝다···허블, 가장 눈부신 블랙홀 발견

      미국 애리조나대 천문학자들은허블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이용해, 약 128억년 생성된 퀘이사를 발견했다. 퀘이사가 내뿜는 빛은 태양의 600조배나 되며 이는 천문 역사상 발견된

    중앙일보

    2019.01.14 17:18

  • 123억년 전 '화석 성운' 발견···우주 탄생의 비밀 풀 단서

    123억년 전 '화석 성운' 발견···우주 탄생의 비밀 풀 단서

    청색으로 표시된 가스가 주황색으로 표시된 은하들을 연결하고 있다. 이번 발견된 '화석 성운(fossil cloud)'은 별이 죽을 때 내놓는 금속성의 '무거

    중앙일보

    2018.12.23 19:15

  • 오묘한 물의 성질…얼음 낚시가 가능한 이유

    오묘한 물의 성질…얼음 낚시가 가능한 이유

    호수 위에서 얼음낚시를 하고 있는 모습. 얼어붙은 호수 아래서도 물고기가 살 수 있는 것은 물의 독특한 물리화학적 특성 덕분이다. [중앙포토] 12월부터 한파가 몰아치면서 지난

    중앙일보

    2017.12.23 05:00

  • “130억년 전 탄생한 거대 블랙홀 발견…무게는 태양의 8억 배”

    “130억년 전 탄생한 거대 블랙홀 발견…무게는 태양의 8억 배”

    퀘이서 천체의 중심에 있는 가장 오래된 블랙홀의 이미지[카네기 과학재단 홈페이지 캡처] 우주 관측 사상 가장 오래된 거대 블랙홀이 발견됐다.     미국 카네기 연구소 등으로 구

    중앙일보

    2017.12.07 16:03

  • 블랙홀 합칠 때 발생, 상대성 이론 ‘휘는 공간’의 증거

    블랙홀 합칠 때 발생, 상대성 이론 ‘휘는 공간’의 증거

    1 미국 루이지애나 리빙스턴에 위치한 라이고(LIGO)의 전경. 길이 4㎞에 달하는 두 개의 통로 중 오른쪽으로 뻗어나간?하나는 사진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쉽

    중앙선데이

    2016.02.28 00:36

  • 시네마 OST콘서트·모던락 콘서트 등 즐길거리 가득

    시네마 OST콘서트·모던락 콘서트 등 즐길거리 가득

    일산아지매, 파주맘과 함께하는 Docu-Picnic 제5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주최도시인 파주시와 고양시 주민들의 축제의 장. 1부 : 벼룩시장 - 집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중앙일보

    2013.10.01 00:30

  • 태양광 지붕 자전거길, 세종시만 있지요

    태양광 지붕 자전거길, 세종시만 있지요

    대전 유성~세종시 첫마을(연기군 남면) 간 8.78㎞ 8차선 확장 공사가 마무리 단계다. 31일 개통하는이 도로 중앙에는 국내 처음으로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한 자전거도로(폭 3.

    중앙일보

    2012.03.28 01:11

  • [사진] 블랙홀의 탄생

    [사진] 블랙홀의 탄생

    미 항공우주국(NASA)이 17일(현지시간) 블랙홀 생성 초기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적외선을 감지하는 스피처우주망원경으로 찍은 것이다. 과학 주간지인 ‘네이

    중앙일보

    2010.03.19 02:42

  • 사파이어, 루비 등 우주 먼지 뿜어내는 거대 블랙홀

    사파이어, 루비 등 우주 먼지 뿜어내는 거대 블랙홀

    ‘우주의 보석 공장’처럼 거대한 블랙홀이 막대한 루비와 사파이어 그리고 유리 등을 뿜어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일 폭스 뉴스 등 해외 언론들은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과 영국

    중앙일보

    2007.10.11 11:05

  • [새책] 울퉁하고 불퉁한 우주 이야기 外

    *** 울퉁하고 불퉁한 우주 이야기(케네스 C 데이비스, 최달수 그림, 노태영 옮김, 푸른숲, 212쪽, 8800원)=우주와 관련한 상식을 중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문답형식으로 풀어

    중앙일보

    2004.04.10 15:37

  • [새책] 울퉁하고 불퉁한 우주 이야기 外

    [새책] 울퉁하고 불퉁한 우주 이야기 外

    *** 울퉁하고 불퉁한 우주 이야기(케네스 C 데이비스, 최달수 그림, 노태영 옮김, 푸른숲, 212쪽, 8800원)=우주와 관련한 상식을 중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문답형식으로 풀어

    중앙일보

    2004.04.10 15:37

  • "중력 속도, 광속과 거의 일치"

    "아인슈타인은 옳았다." '중력의 속도는 빛의 속도와 동일하다'는 천재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1879~1955)의 가설이 미국 연구진에 의해 사실로 확인됐다. 7일 미국 시애

    중앙일보

    2003.01.08 19:14

  • "빛의 속도 빅뱅 뒤 느려졌다" 濠과학자, 상대성 이론 반박

    호주의 한 과학자가 빛의 속도는 수십억년에 걸쳐 느려졌다고 주장,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도전하고 나섰다. 시드니 머쿼리 대학의 이론물리학자인 폴 데이비스 교수는 과학잡지 네이

    중앙일보

    2002.08.09 00:00

  • 가상의 '온라인 우주' 탐사

    독일 항공우주센터의 천문학자 게르하르트 한은 지난 여름 망원경을 들여다볼 시간이 없었다. 명왕성 바깥에서 발견된 소행성 ‘2001 KX76’의 크기와 궤도를 계산하고 싶었기 때문이

    중앙일보

    2002.01.04 18:30

  • [생활속으로] 손가락 하나로 움직이는 세상 - 센서

    인공지능 바이오센서 센서는 기본적인 정보를 채취하는 장치 또는 수단인 감지기입니다. 인류는 센서라는 말이 생기기 훨씬 전부터 실제 센서라고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치를 사용해 왔

    중앙일보

    2001.09.12 15:21

  • 빛의 속도 빨라졌다?… 호주 연구팀 "증거 발견"

    [뉴욕 AP=연합] 빛의 속도가 변해왔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발견돼 물리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호주 뉴 사우스 웨일스대 연구팀은 15일 "순수한 구조 상수(常數.전자기력의 세기

    중앙일보

    2001.08.17 00:00

  • 빛의 속도 빨라졌다?… 호주 연구팀 "증거 발견"

    빛의 속도가 변해왔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발견돼 물리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호주 뉴 사우스 웨일스대 연구팀은 15일 "순수한 구조 상수(常數.전자기력의 세기를 결정짓는 수로 빛

    중앙일보

    2001.08.16 17:20

  • "우주 물리법칙, 변하고 있을 수도"

    우주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동안 항상 불변으로 여겨졌던 우주 물리법칙들도 점차 변해가고 있을지 모른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뉴욕타임스가 15일 보도했다. 타임스는 미국,

    중앙일보

    2001.08.15 22:12

  • 지구에서 가장 먼 천체 발견

    지금까지 지구에서 관측된 천체 중가장 멀리 떨어진 발광체가 미국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됐다. 미국 천체학회의 지원으로 시카고 대학이 주축이 돼 구성된 천체 관측팀 `슬로안 디지털 스

    중앙일보

    2001.06.07 10:27

  • [과학으로 세상보기] 100억년의 타임머신

    요즘같이 세태가 답답할 때는 타임 머신이 있어서 이순신 장군이 왜군을 물리치는 장면이나 광개토대왕이 만주 벌판을 누비는 장면을 볼 수 있다면 침체된 우리 국민의 사기가 크게 진작

    중앙일보

    2001.04.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