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오긍선 박사 기념사업회 발족 「전기」출판. 추모강연회 열어

    4일은 우리나라 개화기의 의학선구자로 평생을 의학과 육영사업에 몸바친 해관 오긍선 박사의 탄생 1백년이 되는 날이다. 이 날을 맞아 그의 유덕과 위업을 기리기 위한 기념사업회(회장

    중앙일보

    1977.10.04 00:00

  • 곡 소죽 임병직형/이원순

    소죽 임병직 형. 며칠 전 병상으로 형을 찾았을 때형은 평상시와 같이 온화한 얼굴에 웃음을 띠고 반가와 하면서 담소했읍니다. 그래서 형이 세상을 떠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않았음니

    중앙일보

    1976.09.25 00:00

  • 백산 안희제 추모비 제막 29일 고향 경남 의령에서

    일제 하 항일독립운동가로서 언론과 교육사업에도 종사했던 백산 안희제 선생(1885∼1943)의 추모비 제막식이 지난 29일 상오 선생의 고향인 경남 의령군 의령면 동동 삼거리에서

    중앙일보

    1976.05.31 00:00

  • 같은 날 낭산·월성묘비 제막

    고 낭산 김준연씨와 월파 서민호씨의 묘비 제막식이 장소는 다르지만 같은 날을 잡아 7일상·하오 각각 거행됐다.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천주교 묘지에서 있은 낭산묘비 제막식에서 위원장

    중앙일보

    1975.06.07 00:00

  • 고 육영수 여사 추모 조가(박목월 작사 김동진 작곡)

    문공부는 17일 고 육영수 여사를 추모하기 위해 시인 박목월씨의 작사, 김동진씨 작곡으로 조가를 마련했다. 배화여고 합창단이 오는 19일 중앙청에서 엄수될 영결식에서 합창한다. 조

    중앙일보

    1974.08.17 00:00

  • 주시경 선생 60주기

    27일은 한힌샘 주시경 선생이 38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지 60돌이 되는 날. 우리말과 글의 과학적 연구의 개척자며 청년교육 한글운동의 선구자인 선생의 60주기를 맞아 민

    중앙일보

    1974.07.29 00:00

  • 새 지표 찾아 고민하는 「신민」

    유진산 신민당 총재를 보내는 신민 당장에 정부는 거의 국민장에 준하는 지원을 했다. 장례비 보조 3백 만원(사회장의 경우는 1백만∼2백 만원이 관례)이 그렇고 악대·조포·차량지원

    중앙일보

    1974.05.04 00:00

  • 유진산 총재 신민 당장 엄수

    고 유진산 신민당 총재의 영결식이 2일 상오10시 남산 야외음악당 광장에서 신민 당장으로 엄수됐다. 지난달 28일에 별세한 유 총재의 유해는 이날 고향인 충남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중앙일보

    1974.05.02 00:00

  • (479)경무대 사계(106)우제하(제자 윤석오)

    오랜 투병 끝에 이 박사는 65년7월19일「하와이」의 「마우날라니」병원에서 서거했다. 만90세. 조국에 대한 사랑으로 일관된 파란과 영욕으로 점철된 생애였다. 「프란체스카」부인과,

    중앙일보

    1972.06.07 00:00

  • 한국 땅에 묻히고 싶다

    『나를 한국에서 잠들게 해 달라.』 해방 전 강원도 무의면에서 인술을 펴다가 종전 후 일본으로 돌아가 3년 전에 사망하면서 한국에 묻히기를 원했던 한 일본인 의사의 유골이 26년만

    중앙일보

    1971.11.17 00:00

  • (809)|10주기 맞은 유림 선생 회상|권오돈 (전 연세대교수)

    단주 유림 선생이 회천하신지 오늘로써 10주년이 된다. 선생은 1894년 전주에서 태어나 61년4월1일 세상을 뜨기까지 그의 일생은 민족의 수난, 바로 그것이었다. 23세 때에 대

    중앙일보

    1971.04.01 00:00

  • 최현배 박사 추모 모임 탄생|기관지 발간…「외솔상」제정

    외솔 최현배씨를 추모해 만든 연구·친목의 재단 법인체 「외솔회」(회장 홍이섭)는 기관지 「나라 사랑」제1질을 내 놓았다. 「외솔 최현배 박사 특집」을 내용의 전부로 하여 엮은 창간

    중앙일보

    1971.02.02 00:00

  • 고 이승만 박사 5주기

    고 이승만 박사 5주기 추념식이 19일 하오 2시30분 동작동 국립묘지 고인의 묘소에서 거행됐다. 정동 교회 성가대의 찬송으로 시작된 이날의 추념식에는 미망인 프란체스카 여사와 양

    중앙일보

    1970.07.20 00:00

  • (7)단종의 비 애사서린|정업원과 동망봉

    이조5백년의 긴 세월동안 충신·효자도 많았고 열녀도 많았다. 그러나 그중에도 충신으로는 사육신, 효자로는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 열녀로는 단종의 부인 송비의 처절했던 단심이 대표적

    중앙일보

    1970.03.25 00:00

  • 방학을 뜻있게

    전국대학이「데모」의 소용돌이속에서 조기방학에 들어갔고, 20일부터는 중학교·고등학교가 또한 일제히 방학에 들어갔다. 학생들에게있어방학이야말로 가장 즐거운 시기요, 평생을 두고 잊을

    중앙일보

    1969.07.22 00:00

  • 김윤경박사 사회장 엄수

    한결 김윤경박사영결식이 9일하오1시 한양대학교대강당에서 사회장으로 베풀어졌다. 기독교의식으로 진행된이날 장례식에는 이희승, 최현배씨등 한글학계인사들과 정당 사회단체대표등 2천여명의

    중앙일보

    1969.02.10 00:00

  • 조 가람이병기선생

    시조시인이며 국문학연구의 위대한 스승, 가람선생이 돌아가셨다. 지금 숙홀지간에 유명을 달리하여 이글을 초하니 가슴이 망극하다. 1957년10월9일 한글날 기념식전후 댁으로 돌아가시

    중앙일보

    1968.11.30 00:00

  • "민족의 영원한 스승"

    10일은 도산안창호선생이 일제하모진 옥고의 여독으로 그보람있는 인생을 하직한지 30주기날이다. 도산은 황한말 조국의 운명이 풍전등화와도 같이 위태로운 시대환경속에 태어나 그10대말

    중앙일보

    1968.03.09 00:00

  • 이승만 박사 2주기 엄수

    고 이승만 박사의 대상을 맞은 19일 상오 11시 동작동 국립묘지에서는 소복 차림의 미망인 「프란체스카」 여사와 양자 이인수씨 그밖에 친지 다수가 참석한 가운데 정동교회 김광우 목

    중앙일보

    1967.07.19 00:00

  • 평화롭게 고이 잠드소서

    천상에는 또 하나의 큰 별이 빛나게 되었습니다. 선생은 가셨어도 고매한 정신과 민족역사에 되새겨진 유업은 깊이 찬양되며 우리들의 머리에서 잊혀질 수 없을 것입니다. 선생은 「그리스

    중앙일보

    1966.06.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