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하위권생 위한 정보도

    ▶지난해 11월13일 수학능력시험이 있었다.시험이 끝나기 무섭게 언론에는 난이도및 예상점수 변동폭 해설이 나왔다.며칠후 학과별 지원가능점수가 나왔다.그러나 이것은 상위권 학생을 위

    중앙일보

    1997.01.08 00:00

  • 방송사 정축년 첫날 특집 기획물 볼만

    정축년 첫날 특집 기획물들이 짭짤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으로 선진권에 진입한 우리는 이제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그 해답이.원단기획 세계에서 조국을본다'(KBS1 오전

    중앙일보

    1996.12.31 00:00

  • 本社 수해복구 자원봉사 결산

    찜통더위 속에서 기꺼이 비지땀을 흘리던 자원봉사자들의 행렬은우리사회가 선진국 못지않게 성숙해지고 있음을 피부로 느끼게 했다. 중앙일보가 지난달 30일부터 12일까지 한국민간자원구조

    중앙일보

    1996.08.13 00:00

  • 지역별 중.고생 자원봉사 제도화 점검

    여름방학 시작을 앞두고 전국의 중.고교가 학생 봉사활동 지도하기에 바쁘다.이는 무엇보다 지난해에 이어 중.고생 자원봉사를고입내신에 반영하거나 졸업 때 의무요건화하는 등 「제도화」한

    중앙일보

    1996.07.05 00:00

  • 컴퓨터 학습보조SW'코치스쿨' 영재.지진아 차별지도 효과

    『현재와 같은 교실 여건과 교사의 업무 부담하에서는 불가능한개별 학생의 성취수준과 약.강점등을 분석.파악하는 역할을 「코치스쿨」이 담당하므로 교사의 업무가 줄고 학생 능력에 따른

    중앙일보

    1996.06.27 00:00

  • 안병영 교육장관에 들어본 교육개혁 한돌

    취임 6개월째인 안병영(安秉永)교육부장관은 요즘 「교육개혁 전도사」로 일선 현장을 누비느라 매우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새로운 교육의 틀을 짜는 개혁안을 현장에 정착시키는 것이

    중앙일보

    1996.06.07 00:00

  • '까막눈 중학생'을 어찌하나

    초등학교 3학년인 아들은 읽기.셈하기 모두가 뒤떨어졌다.학교다니기를 싫어했다.성실한 교사인 아버지는 내 탓이라 생각하고 아들을 자신의 학교로 전학시켜 직접 가르치기로 했다.3학년

    중앙일보

    1996.05.14 00:00

  • 교사들 직업 만족도 낮아-전국교직원노조 1천6명 실태조사

    우리나라 교사들은 보수.근무여건.사회적 지위 등 교직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전국 초.중.고교 교사 1천6명을대상으로 「교육환경

    중앙일보

    1996.05.14 00:00

  • 아들 생활부 고친 교사아버지 징계

    성실하고 유능한 교사로 인정받아온 서울 S초등학교 邊모(46)교사가 최근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징계를 받았다.아들(11)의「자진유급」을 위해 전학 과정에서 생활기록부를 고쳤다는 게

    중앙일보

    1996.05.09 00:00

  • 이모저모

    총선이 종반에 접어들면서 선거자원봉사자들의 발길이 더욱 바빠지고 있다. …서울불광초등학교 5학년 김태환(11)군과 친구 5명은 요즘동네에서「스티커광(狂)」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金

    중앙일보

    1996.04.05 00:00

  • 학교정보화 성공사례-포항제철 서초등학교

    『영남지역 정보통신망을 통해 PC로 공부에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얻고 선생님과 비밀스런 얘기까지도 나눌 수 있어 아주 좋습니다.』 지난해 1월 영남지역 정보망에 학교PC통신전용방(

    중앙일보

    1996.03.07 00:00

  • 모든 초등교에 책가방 없는 날-서울 올해부터 월1회이상

    새학기부터 서울시내 초등학교에 「책가방 없는 날」이 월1회 이상 의무화돼 전면 실시된다. 또 97학년도부터 과학고.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의 필답고사가없어지고 98학년도부터는 고입

    중앙일보

    1996.01.29 00:00

  • 새해 교육계 변화바람-대입자율화등 제도개혁 본격화

    올해 교육계는 그 어느 해보다 변화의 기대가 크다.교육개혁 2년차를 맞아 외형적인 제도 변화가 가시화하며 교육현장에도 새바람이 불어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외형적인 큰 변화는

    중앙일보

    1996.01.11 00:00

  • 새해 무엇이 달라지나-교육

    ◇「국민학교」라는 이름이 바뀐다=1941년부터 사용해온「국민학교」라는 명칭이「초등학교」로 바뀐다(3월). ◇만 5세 어린이도 학교에 갈 수 있다=학부모가 조기취학을 희망하고,가고자

    중앙일보

    1995.12.31 00:00

  • 국민학교 "초등학교"로 바꾼다-교육부,국회서교육法개정

    일제시대부터 지금까지 54년간 사용돼 온「국민학교」명칭이 광복 50주년을 맞아「초등학교」로 바뀐다.교육부는 11일 일제시대 일왕(日王)의 칙령으로 이름지어진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민

    중앙일보

    1995.08.12 00:00

  • (3)총 점검…한국과 외국의 경우|명문은 많아도 학원은 없다 프랑스

    철저한 정예교육을 통해 발탁된「엘리트」들에게「영광된 장래」가 보장되는「프랑스」 고급관료나 교수·고급관리직을 바라는 야심 많은 청소년들에게도 예외 없이 고통스런 진학경쟁이 뒤따르고

    중앙일보

    1977.09.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