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권혁재 사진전문기자의 뒷담화] ufo 촬영 도전기

    [권혁재 사진전문기자의 뒷담화] ufo 촬영 도전기

    이번엔 황당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지금껏 사진기자로 살며 가장 당혹스러웠던 일 중 하나입니다.2004년 3월입니다.취재기자인 선배가 UFO를 사진으로 찍어 달라고 했습니다.말도

    중앙일보

    2017.01.29 00:02

  • [권혁재 사진전문기자의 뒷담화] ufo 촬영 도전기

    [권혁재 사진전문기자의 뒷담화] ufo 촬영 도전기

    이번엔 황당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지금껏 사진기자로 살며 가장 당혹스러웠던 일 중 하나입니다.2004년 3월입니다.취재기자인 선배가 UFO를 사진으로 찍어 달라고 했습니다.말도

    중앙일보

    2016.12.12 00:02

  • 부고

    ▶김봉규(한국천문연구원 박사)씨 별세 4일, 대전 성모병원 장례식장 6분향실, 발인 6일 오전 10시, 042-220-9976▶임해경(충남대 관현악과 교수)씨 별세=3일, 충남대병

    중앙선데이

    2014.01.05 00:20

  • [science] 어랏, 달에 인간이 두고 온 것? 월면차, 레이저 반사경도 있네

    [science] 어랏, 달에 인간이 두고 온 것? 월면차, 레이저 반사경도 있네

    달에서 나침반으로 방향을 알아볼 수 있을까? 답은 지구와는 달리 달에는 자기장이 없어 나침반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달의 생성 초기 약 4억 년 동안에는 자기장이 있었으나 원

    중앙일보

    2012.09.24 00:49

  • 노벨물리학상 펄머터·리스·슈밋

    노벨물리학상 펄머터·리스·슈밋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을 관찰해 우주가 가속팽창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미국 출신 3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 한림원 노벨 물리학상

    중앙일보

    2011.10.05 00:24

  • 개기일식, 평균 18개월에 한 번꼴 일어난다

    개기일식, 평균 18개월에 한 번꼴 일어난다

    22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관측한 개기일식 연속촬영 사진. 일식은 지구-달-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일 때 일어난다. [신화=연합뉴스] 22일 한반도에서 61년 만에 가장 큰 부분일

    중앙일보

    2009.07.24 00:25

  • 한국 설날, 중국 설날 다른 해도 있다

    한국 설날, 중국 설날 다른 해도 있다

    달이 한 번 차오르고 지는 데 걸리는 기간이 음력 한 달이다. 설날은 입춘 앞뒤로 가장 가까이 있는, 달이 차오르기 시작하는 날(삭:朔)이다. [중앙포토]설이 얼마 남지 않았다.

    중앙일보

    2008.02.01 05:26

  • 정동진 가면 '오메가 일출' 보려나

    정동진 가면 '오메가 일출' 보려나

    해가 떠오르는 수평선 위 대기층의 빛 굴절률이 달라져 오메가(Ω) 형상이 나타난다. 작은 사진은 맑은날 바다의 일출·일몰 때 볼 수 있는 녹색 섬광(태양 맨 윗부분).올 한 해도

    중앙일보

    2007.12.29 05:22

  • [달달무슨달] 달이 없다면

    [달달무슨달] 달이 없다면

    달이 없다면 인류가 없었을지 모른다. 설사 인류가 존재하더라도 음력 8월 보름달을 기준으로 하는 추석 같은 명절은 아예 생기지도 않았을 것이다. 달이 만드는 밀물과 썰물은 지구의

    중앙일보

    2006.10.02 20:08

  • '명왕성 퇴출' 후폭풍… 교과서 고칠 때까지 학생들 혼란

    '명왕성 퇴출' 후폭풍… 교과서 고칠 때까지 학생들 혼란

    중학교 2학년의 태양계 행성 단원. 앞으로 이 부분을 개정해야 된다.과학 포털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의 명왕성 부분. 이 부분도 손질해야 한다. "명왕성

    중앙일보

    2006.08.26 04:15

  • 발견 때부터 자격 시비 … 76년 논쟁 매듭

    발견 때부터 자격 시비 … 76년 논쟁 매듭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당한 것은 1930년 명왕성 발견 이후 70여 년간 끌어온 태양계 행성 지위 논란을 마무리한 천문학계의 일대 사건이다. 명왕성을 계속 태양계 행성으로

    중앙일보

    2006.08.25 04:32

  • [인사] 국무조정실 外

    ◆ 국무조정실▶경제조정관실 농수산팀장 안수영▶재경금융심의관실 경제총괄과장 박장호▶산업심의관실 산업자원과장 주복원▶규제개혁2심의관실 국제협력과장 장영현▶재경금융심의관실 연구기획과장

    중앙일보

    2006.05.30 05:32

  • 금성에 가면 “하루가 1년”

    금성에 가면 “하루가 1년”

    금성을 탐사하기 위해 유럽우주국(ESA)이 지난해 11월 발사한 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호'가 11일 금성 궤도에 진입했다. 새로운 금성탐사선이 금성 궤도에 진입하는 것은 198

    중앙일보

    2006.04.13 19:33

  • 미국 과학자, 외계인 존재 후보 별 10개 선정

    미국 과학자, 외계인 존재 후보 별 10개 선정

    지능을 가진 외계 생명체가 있다면 어느 별 근처가 될까. 최근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서 미국 카네기연구소 마거릿 턴블 박사는 'ET의 고

    중앙일보

    2006.02.23 21:08

  • "명왕성, 너 태양계 행성 맞니?"

    "명왕성, 너 태양계 행성 맞니?"

    명왕성은 태양계 아홉번째 행성으로, 행성의 막내다. 명왕성 탐사선 호라이즌스호가 명왕성을 향해 지난달 발사된 이후 태양계 행성 수에 대한 논란이 천문학자들 사이에서 다시 일고 있

    중앙일보

    2006.02.09 20:58

  • [과학] 해맞이 때 오메가(Ω) 현상은 빛 굴절 때문

    [과학] 해맞이 때 오메가(Ω) 현상은 빛 굴절 때문

    ▶ 태양의 위 아래 굴절률이 뒤바뀌면 태양 중간 아랫부분만 수평선 아래로 거울에 비치듯 한다. 이 때 그리스 문자 오메가(Ω) 형상을 연출한다. 해는 매일 지고 내일 또 떠오른다.

    중앙일보

    2004.12.29 17:25

  • [과학으로 세상보기] 얼마나 커야 '천문학적'일까

    '천문학적'이란 말이 자주 사용되는데, 실제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천문학적'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소개할까 한다. 태양계의 크기는 120억km다. 이게 얼마나 크냐 하면, 우리 지

    중앙일보

    2004.12.16 18:36

  • [과학으로 세상보기] 태양 폭발은 왜 생길까

    태양은 우리에게 항상 일정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고마운 존재인 것처럼 보이지만, 알고 보면 그렇게 얌전한 것만은 아니다. 망원경으로 보면 태양의 표면에는 흑점이라는 검은 반점들이 있

    중앙일보

    2004.11.25 18:41

  • [과학으로 세상보기] 한국인 이름이 붙은 별들

    한국천문연구원이 발견한 5개의 소행성에 한국의 위대한 과학자인 최무선.이천.장영실.이순지 그리고 허준의 이름이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공식적으로 붙여졌다는 사실이 몇 달 전 언론을 통

    중앙일보

    2004.11.04 18:40

  • [NIE] 일식과 월식은 왜 일어날까

    [NIE] 일식과 월식은 왜 일어날까

    지난 14일 오전 10시52분부터 52분 동안(서울 기준) 달이 태양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일식이 있었다. 그러나 광주로부터 서남쪽과 제주 지역에선 이 현상을 볼 수 없었다. 보는

    중앙일보

    2004.10.25 17:20

  • [과학으로 세상보기] 달이 해를 먹는 날

    '일식'이란 단어를 인터넷으로 찾아보면 온통 일본 음식에 대한 정보뿐이다. 달이 해를 가리는 천문현상인 일식에 대한 정보는 한참 뒤져서야 겨우 찾을 수 있다. 밥이 모든 것을 우선

    중앙일보

    2004.10.06 19:00

  • [과학으로 세상보기] 지구를 위협하는 천체

    1908년 6월 30일. 새벽을 가르며 50m 크기의 거대한 덩어리가 우주에서 시베리아의 퉁구스카 지역으로 날아 들어왔다. 시속 20만㎞라는 엄청난 속도로 날아온 이 덩어리는 해발

    중앙일보

    2004.09.16 18:40

  • [과학으로 세상보기] 첨성대, 천문대냐 제단이냐

    첨성대에는 문이 없다. 뿐만 아니라 그 곳에서 별을 봤다는 기록도 없다. 그래서 누구나 한 번쯤은 저게 정말 천문대였을까 하는 의심을 갖게 된다. 그러니 첨성대가 천문대가 아닌 제

    중앙일보

    2004.08.26 18:33

  • [과학으로 세상보기] 한여름 밤 별들의 향연

    동양의 밤하늘은 천상의 세계를 상징한다. 그래서 궁전을 뜻하는 자미궁도 있고, 군대를 뜻하는 군문(軍門)도 있으며, 천대장군(天大將軍)이나 삼공(三公)과 같은 벼슬아치에 해당하는

    중앙일보

    2004.08.05 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