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경마공원 개장 맞춰 '말 관리과' 만드니 학생들이 달려와요

    경마공원 개장 맞춰 '말 관리과' 만드니 학생들이 달려와요

    김해생명과학고 마필관리과정 학생들이 9일 교내 승마장에서 류재호 교사(53·오른쪽)에게서 승마 기술을 배우고 있다. 송봉근 기자 "따가닥, 따가닥." 9일 오후 경남 김해시 외동

    중앙일보

    2006.11.10 05:00

  • [월요인터뷰] 흑룡강신문 이진산 사장

    [월요인터뷰] 흑룡강신문 이진산 사장

    이진산 사장은 흑룡강신문이 중국 내 조선족과 한국인 사회를 잇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했다. 우리말을 통해 흩어진 겨레의 소통.매개 역할을 다하겠다는 다짐이다. 그는 한국

    중앙일보

    2006.10.08 20:28

  • 노동계 뉴라이트운동 점화

    노동계 뉴라이트운동 점화

    1980년대 노동운동을 주도했던 전 울산 현대엔진 노조위원장 권용목씨가 23일 출범하는 '뉴라이트 신노동연합'의 창립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김경빈 기자 1987년의 '노동자 대투

    중앙일보

    2006.09.20 04:35

  • SK, 중국 선양에 첫 직영주유소

    SK네트웍스가 본격적으로 중국 내 복합주유소 사업을 시작했다. SK네트웍스는 최근 중국 동북부 선양(瀋陽) 시내에 주유.충전 기능과 경정비.편의점을 갖춘 각각 800평 규모의 복합

    중앙일보

    2006.05.01 19:13

  • 북 주민 생활 점령한 '메이드 인 차이나'

    북 주민 생활 점령한 '메이드 인 차이나'

    중국 단둥의 해관(세관) 옆 교통물류감독창고에 평북 번호판을 단 북한 트럭들이 화물을 싣고 주차해 있다. 이곳에서 각종 생필품을 실은 북한 트럭들이 압록강의 중조우의교를 통해 신의

    중앙일보

    2006.03.30 05:14

  • 창창롄허 … M&A엔진 달고 질주

    창창롄허 … M&A엔진 달고 질주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 정부가 외국 기업 유치를 위해 선양시 북쪽 기차역(北站) 부근에 세운 팡위안(方圓) 빌딩. 건물 머리 위에 옛날 동전인 엽전을 이고 있다. 건물 이름인 '팡위

    중앙일보

    2006.03.29 05:20

  • 중국 '동북진흥 프로젝트' 현장을 가다 동북진흥만이 살 길이다

    중국 '동북진흥 프로젝트' 현장을 가다 동북진흥만이 살 길이다

    부지 정리작업이 한창인 선양의 독일국제공업원에 초대형 철제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9를 999개 써서 만든 이 조형물은 동북진흥 사업의 궁극적 목적이기도 한 풍요와 발전을 상징한다

    중앙일보

    2006.03.28 05:12

  • [하영선칼럼] 아시아의 다음 천년 수도는?

    골프 정국으로 머리가 어지럽다. 내년 말 대선을 위한 본격적 선거전이 예정보다 당겨진 느낌이다. 그럴수록 하루 하루의 시국 변화를 넘어선 멀고 넓은 얘기를 하고 싶어진다. 공부모임

    중앙일보

    2006.03.12 21:19

  • [김정일 위원장 중국 방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10일 중국을 방문했다. 2004년 4월 방중 이후 1년9개월 만이다. 그를 태운 특별열차는 이날 오전 6시 양국 접경지역인 단둥(丹東)에 도착해 30분

    중앙일보

    2006.01.11 10:09

  • 김정일 위원장 중국 방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10일 중국을 방문했다. 2004년 4월 방중 이후 1년9개월 만이다. 그를 태운 특별열차는 이날 오전 6시 양국 접경지역인 단둥(丹東)에 도착해 30분

    중앙일보

    2006.01.11 04:50

  • [인사] 감사원 外

    ◆ 감사원▶전략감사본부 총괄팀장 김상윤▶재정금융감사국 김영호▶재정금융감사국 이종철▶건설물류감사국 정상환▶사회복지감사국 이세도▶사회복지감사국 김상곤▶행정안보감사국 이욱▶행정안보감사국

    중앙일보

    2005.12.31 06:12

  • 한·중 경제전문가 좌담 "2005 중국경제 어디로"

    한·중 경제전문가 좌담 "2005 중국경제 어디로"

    ▶ 중앙일보 대회의실에서 열린 중국 경제 전문가 좌담회에서 문정인 위원장, 정덕구 의원, 장수광 교수, 김정수 소장(왼쪽부터)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변선구 기자 달러화 약세가 뚜렷

    중앙일보

    2004.12.06 17:44

  • [전국 프리즘] 한과마을·떡마을 등 전통 살리기 한창

    외국을 여행하면서 절감하게 되는 것은 우리만큼 문화.역사의 단절과 변화를 겪은 민족도 없지 않나 하는 점이다. 유럽의 도시들은 두 번의 세계대전 속에서도 제 모습과 문화를 원형으로

    중앙일보

    2004.08.31 18:48

  • 태평양화장품, 중국공략 10년 결실

    태평양화장품, 중국공략 10년 결실

    ▶ 태평양화장품의 중국 진출 교두보가 됐던 홍콩의 소고백화점에 '라네즈'를 알리는 대형 간판이 걸려 있다. 지난 21일 중국 상하이(上海)의 태평양 백화점. 상하이 내 최고급 백화

    중앙일보

    2004.05.24 06:14

  • 최완규 교수 신의주 방북기下

    신의주 세관에서 자동차로 5분 거리에 있는 압록강 여관에 여장을 풀면서 문득 신의주 출신 탈북자 J씨의 말이 떠올랐다. 신의주 연구 때문에 만난 J씨는 올해 1월 필자에게 1980

    중앙일보

    2004.04.28 01:54

  • 출판계 '고구려'가 쏟아진다

    출판계 '고구려'가 쏟아진다

    ▶고구려 첫 도읍지였던 랴오닝(遼寧)성 환런(桓仁)현의 오녀산성. 압록강의 지류인 혼강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중국의 역사 왜곡 움직임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는 추세에 힘입어 중국의

    중앙일보

    2004.03.07 18:45

  • [중국 경제 리더와의 대화] 1. 동북 재개발이란

    [중국 경제 리더와의 대화] 1. 동북 재개발이란

    지난 8월 원자바오(溫家寶)총리는 지린(吉林)성 창춘(長春)에서 국무원 회의를 개최, 랴오닝(遼寧).지린.헤이룽장(黑龍江) 성 등 동북 3성을 전면 발전시키자는 동북 재개발 정책을

    중앙일보

    2003.11.09 21:00

  • [중국 경제 리더와의 대화] 1. 보시라이 랴오닝 省長

    중국은 블랙홀이다. 주위의 에너지를 모두 빨아들이며 성장 페달을 한층 더 세게 밟고 있다. 그러나 심연에 도사린 문제의 깊이 또한 끝을 알기 어렵다. 산업자원부 장관 등을 역임한

    중앙일보

    2003.11.09 17:55

  • "中 호텔선 가짜 술 조심"

    [상하이=연합]중국 주요 도시에 있는 호텔에서 판매하는 백주와 양주 등 고급술의 상당량이 가짜인 것으로 드러났다. 9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중국 공상총국이 지난달 베이징(北京).선

    중앙일보

    2003.06.09 18:07

  • 山海關 길, 北學의 길: 長城 끝자락에 올라 '中華'를 뛰어넘다

    '신연행록' 답사 여섯째 날, 일행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 산하이관(山海關)으로 갔다. 선양(瀋陽)에서 4백㎞를 달려왔고, 베이징(北京)까지는 3백50㎞를 가야 한다. 선양과 베이

    중앙일보

    2002.11.01 00:00

  • ⑦ 한국에도 움트는 클러스터 :애니메이션·도자기… 지자체 주도속 '힘모으기'

    부천시 상동 경기디지털아트하이브(DAH) 종합지원센터에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업체 드림픽쳐스21의 김일권 사장. 그는 지금 중국 상하이(上海)에 머물면서 현지 업체와 TV용 애니메

    중앙일보

    2002.10.14 00:00

  • 압록강·선양에서던지는질문-압록강에뿌려지는눈물 언제나마를건가

    ◇풍경 1: 압록강엔 눈물이 더해지고=압록강 너머 요동 벌은 가고 싶지 않은 '오랑캐의 땅'이었다. 만주족 오랑캐! 1636년의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만 해도 조선 지식인들의

    중앙일보

    2002.10.11 00:00

  • [특구 발표후 첫 방문 최완규 교수 방북기下 ] "최고 부자는 화교"

    신의주 세관에서 자동차로 5분 거리에 있는 압록강 여관에 여장을 풀면서 문득 신의주 출신 탈북자 J씨의 말이 떠올랐다. 신의주 연구 때문에 만난 J씨는 올해 1월 필자에게 198

    중앙일보

    2002.09.30 00:00

  • 다시밟아본역사속의 길: 광활한 요동벌..'울 만한 곳이요 울어야 할 곳'

    록강에서 베이징(北京)까지 2천리, 요동 평야를 에돌아 산하이관(山海關) 너머 오늘날 베이징이라 불리는 연경(燕京)에 이르는 길은 한·중 문화교류의 대동맥이다. 지난 2천년 동안

    중앙일보

    2002.09.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