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丁丑年은 丙子年에 새긴 일 증폭되는 해

    음력으로 정축(丁丑)년은 설날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지낸 꼴이 되고 말았다.지난 8일이 설날이라고 해서 민족 대이동의 귀성(歸省) 러시를 이루었지만 8일은 엄밀한 의미에서 우리의

    중앙일보

    1997.02.10 00:00

  • 순교로 신앙지킨 천주교 성지-충남 서산 해미읍성

    천주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평택현감(縣監)이었던 이승훈(李承薰.1756~1801년)이 베이징(北京)에서 교리서적을 갖고 귀국해 교회를 세운 1784년부터다.올해로 2백12년을

    중앙일보

    1996.12.11 00:00

  • 함양 돌담식당 별미 염소구이

    염소는 체질이 강하고 잔병이 없는데다 독초를 제외한 모든 야생초를 먹고 자라기 때문에 예부터 약으로 이용돼 왔다. 조선조말 고종때 명의였던 황도연(黃道淵.?~1885)이 지은.방약

    중앙일보

    1996.11.20 00:00

  • 거북선 숨결 역사의 긴잠 깨다-미스터리 밝힌 사진 발견

    거북선이 역사의 블랙홀을 빠져나와 밤안개를 헤쳐온 유령선처럼우리 앞에 나타났다.한국 문화재 사진 사상 최고의 발견으로 기록될 수도 있을, 추정 제작연대 조선 영조시대인 거북선의 사

    중앙일보

    1996.11.16 00:00

  • 7.古宮 살리기-이렇게 활용하자

    지난달 26일 복원이 끝난 운현궁에서는 문화집단 예문관 주관으로 조선조의 왕통을 이어갈 혼례를 재현한 「고종과 명성후의 가례(嘉禮)의식」이 화려하게 펼쳐져 장안의 화제가 됐다.이날

    중앙일보

    1996.11.14 00:00

  • 운현궁 복원

    『운현궁은 정치의 중심지며 따라서 이 나라의 중심지로 되었다.이전에는 비루먹은 개 한마리 찾지 않던 흥선(興宣)댁이나,지금은 팔도강산에서 매일 찾아드는 수 없는 시민의 무리 때문에

    중앙일보

    1996.10.28 00:00

  • 惑世誣民

    안방극장의 단골 주인공이라면 광해조의 인목대비,숙종조의 장희빈,고종조의 명성황후 민비를 꼽을 수 있다.조선조 최대의 여걸이라 할 세 여인은 치열한 권력 다툼의 배후 조종자로서 비운

    중앙일보

    1995.10.04 00:00

  • 한국 古건축의 匠人 申榮勳 문화재전문위원

    『이,뭐꼬』는 전통적인 불가의 화두다.헛 눈 뜨지 말고 심안(心眼)을 켜라는 뜻쯤된다. 『집이 뭐꼬』는 목수(木壽) 신영훈(申榮勳.문화재 전문위원)씨의 화두다.우리 시대의 「도편수

    중앙일보

    1995.08.14 00:00

  • 서울의 중심점 표지석

    서울의 중심은 어디일까. 종로구 인사동 하나로빌딩과 태화빌딩 사이에는 이같은 궁금증을풀어주는「서울의 중심점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이 표시돌이 세워진곳은 일제하 3.1운동 당시 손

    중앙일보

    1995.06.14 00:00

  • 제너럴 셔먼호 되살린다-KBS대하드라마"찬란한 여명"

    19세기말 대동강변에 나타나 개화격변기의 시작을 알린 미국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되살아난다. 조선조 후기 개항사를 그린 대하드라마 『찬란한 여명』(신봉승극본.이녹영 연출,9월 방

    중앙일보

    1995.05.17 00:00

  • 예술의전당 "덕혜옹주"

    예술의 전당(사장 이종덕)은 광복 50주년을 기념하는 무대로다음달 4일까지 역사극 『덕혜옹주』를 공연중이다. 연극계에서 사극이 공연되기는 참으로 오랜만의 일이다.재미만을좇아 섹스코

    중앙일보

    1995.05.05 00:00

  • 10.안경-任亂때 김성일 국내 첫착용

    운요호(雲揚號)사건 직후 일본으로 파견된 김기수(金綺秀)는 비록 사과형식의 방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존심을 지킨다는 차원에서 수신사일행 16명 전원에게 안경을 쓰도록 했다.당시만

    중앙일보

    1994.12.08 00:00

  • 서울 연희동

    서울서대문구연희동(延禧洞)은 전직 대통령 2명이 살고 있는 곳이다.비록 그들이 대통령으로 된 것과 관련한「12.12사건」을 두고 현재 역사적 평가가 엇갈리고 있지만,이와는 무관하게

    중앙일보

    1994.11.13 00:00

  • 고성 乾鳳寺

    단풍이 곱게 물든 설악은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상쾌하다. 점봉산 너머로 짧은 해가 기울 때쯤 따사로운 가을햇살을 듬뿍안고 있는 설악의 넉넉한 모습 속에서 정신적 풍요로움을 맛볼

    중앙일보

    1994.10.08 00:00

  • 정몽주 기리는 臨皐서원 마무리공사 한창-경북 영천

    『고려말 節義臣 圃隱 鄭夢周의 충효의열과 유덕을 기린다.』 경북영천시에서 동북쪽으로 4㎞쯤 떨어진 영천군임고면양항리 보현산자락에 들어앉은 임고(臨皐)서원-. 경북도가 22억원의 예

    중앙일보

    1994.09.12 00:00

  • 2.강화 燕尾亭

    서해 唜島(말도)앞바다에서 시작되는 휴전선의 첫 상륙지는 강화군양사면철산리다.철산리를 한쪽 끝으로 해 동쪽으로 강화읍 월곶리,염하(鹽河.강화대교로 연결됨)를 건너 김포군월곶면조강리

    중앙일보

    1994.08.16 00:00

  • 울릉도 道洞.苧洞

    동해의 외로운 섬 울릉도가 우리 앞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지 1백년이 지났다.역사책에 나오는 신라 장군 異斯夫가 于山國을 점령했다는 기록이후 사실상 빈섬으로 남겨두었다.그러다가 고종

    중앙일보

    1994.08.01 00:00

  • 조선궁궐 현판 151점 공개

    창덕궁의 의풍각(창고의 일종)에 보관돼 오던 조선조의 궁궐. 전각등의 각종 현판 1백51점이 공개됐다. 서울시는 문화재관리국 李廷燮 문화재전문위원과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任昌淳소장

    중앙일보

    1994.06.11 00:00

  • 20여년간 國譯사업 몰 국학자 鄭然偵씨

    조선왕조실록 1천7백6책을 한글로 번역.출간하는 우리 역사상최대의 國譯사업이 지난해 12월말 26년만에 大長征의 막을 내렸다.조선조 태조부터 철종까지 25대,4백72년의 역사기록을

    중앙일보

    1994.03.02 00:00

  • 외규장각 제터에 복원하자 -학자들,씁쓸한 지적

    1866년 丙寅洋擾당시 프랑스의 로즈제독에 의해 약탈된 外奎章閣도서의 반환을 앞두고 불타버린채 방치돼있는 강화도 外奎章閣을 복원해야한다는 여론이 일고있다. 外奎章閣의 위치는 경기도

    중앙일보

    1993.09.19 00:00

  • 단국대,5백억원대 문화재 판다-재정권 타개위한 고육책

    부실 운영등을 이유로 지난달 11일 교육부에 의해 관선이사 파견이 결정된 檀國大(총장 張忠植)는 4일 학교 정상화 방안의일환으로 국보급.보물급이 다수 포함된 5백억원대가 넘는 희귀

    중앙일보

    1993.09.04 00:00

  • 밑으로부터 지지가 성공 열쇠/역사에 나타난 개혁 성패사례

    ◎지도층 의지 확산 안되면 좌절/너무 급진적인 대원군·조광조 실패/국민의식 대변 루스벨트 매번 승리 김영삼대통령의 개혁정책이 계속되면서 벌써부터 일부 기득권층이 반발하고 있는 것이

    중앙일보

    1993.04.17 00:00

  • “이번엔 우리차례” 파문 걱정/민주당 재산공개 이모 저모

    ◎“시가로 했다” 민자와 차별성 부각/「학교법인」은 쑥빼고 신고… 빈축도/율사출신 상당수 20억대 부동산 부자 민주당은 4일 마감한 재산등록이 시가공개여서 민자당의 공시지가 및 기

    중앙일보

    1993.04.05 00:00

  • 명성왕후 일대기 조명

    □…교육방송『인물 한국사』(22일 밤7시20분)-「풍운의 세월,명성왕후 민비」. 조선조 25대왕 고종의 아내이며 구한말 격동의 시대에 쓰러져가는 국운을 회복하기 위해 쇄국양이 정책

    중앙일보

    1993.03.22 00:00